정치 국회·정당·정책

조명래 "한중 미세먼지 고위 정책협의체에 북·일·러 포함 고려"

"올초 한중 국장회의 논의내용 이행에 합의"

인공강우 기술 공유도 한중간 협의 완료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명래(사진) 환경부 장관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한중 고위급 정책 협의체 설립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대기질 예보정보·기술교류 협력, 엑스포 개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고위급 정책협의체 설립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국발 미세먼지 공포가 퍼지고 있는데 환경부는 중국과 어떤 협의가 이뤄지고 있는지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질의하자 “대기오염 분야에서는 한국과 중국 간에는 오래전부터 협력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며 “미세먼지와 관련해 최근 본격적으로 논의가 됐고, 특히 올해 초 한중 국장회의에서 논의됐던 것을 이행하는데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가 양국은 ‘호흡 공동체’라는 용어도 쓰면서 양국의 미세먼지 정책 실천을 논의할 수 있는 고위급 정책협의체를 제안했고 중국도 이에 동의했다”며 “중국과 한국의 양방적 협의체만으로는 미세먼지 저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북한과 일본, 러시아까지 포함하는 협의체 구성을 고려하고 있다. 그 이전에 많은 연구가 축적돼야 하므로 이를 목표로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중국과 인공강우를 공동 실시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인공강우 실험에 대한 기술 공유는 한중 간 이미 협의가 됐다”며 “올해 상반기 안에 실제 워크숍을 진행해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을 추구할 것”이라 말했다.

북한발 미세먼지와 관련해서는 “북한에서 넘어온 미세먼지도 우리가 실측해야 하므로 비무장지대(DMZ) 주변에 미세먼지 관측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기초로 북한과 여러 가지 사업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