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韓 진출 日기업 85% 흑자…日 경제인 "화 나지만 잘 해결되길"

日 경제인 "韓 돈 벌수 있는 나라

한국산업 무너지면 일본도 쓰러져"

강제징용 배상 판결 갈등 격화에

양국 경제인들 우려 목소리 커져

가나스기 겐지(왼쪽)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강제징용 배상 문제 등 한일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가나스기 겐지(왼쪽)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김용길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강제징용 배상 문제 등 한일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대법원의 징용 배상 판결로 촉발된 한일 외교 갈등이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조치로 확대되자 한국 기업은 물론 일본 기업도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양쪽 경제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국 갈등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 한일 양측 기업들의 불안은 날로 심화하고 있다.

1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만약 수출 제한과 고관세 부과 조치를 한다면 한국과 일본 기업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일본 반도체 관련 소재 제조사의 간부는 “한일 산업은 서로 잘하는 분야에서 협력하는 수평적인 관계”라며 “한국이 기울어지면 일본도 기울어진다. 세계 공급망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고 우려했다.

앞서 지난 12일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한국의 징용피해 소송에서 배상 명령을 받은 일본 기업의 자산 압류와 관련한 보복 조치를 예시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양국 기업들에 충격을 안겼다. 신문은 한일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실제로 그렇게까지는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강하지만 이런 발언이 일본 기업들에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일본무역진흥기구에 따르면 한국은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 중에서 일본 진출 기업들의 흑자 비율이 가장 큰 국가일 정도로 일본 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하다. 조사에 따르면 2018 회계연도(2018년 4월~2019년3월) 기준으로 한국에서 사업을 하는 일본 기업의 85%가 영업이익에서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72%)이나 태국(67%) 등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신문은 일본 기업들에게는 한국이 “돈을 벌 수 있는 나라”라고 설명하며 “강제징용 판결에는 강한 분노를 느끼면서도 사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피하고 싶다. 양국 정부가 냉정하게 잘 해결했으면 좋겠다”는 것이 일본 기업들의 본심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한국 재계도 한일 관계의 급속 냉각이 양국 간 경제 협력 관계를 훼손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최악의 경우 주력 산업에도 직간접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파국은 막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강하다. 다만 일본이 우리와의 무역에서 흑자를 보는 상황에서 자국업체의 피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부품소재 수출 금지 등의 강수를 둘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내 재계의 한 임원은 “우리 쪽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는 품목이 많지 않아 미국처럼 반덤핑을 걸만한 품목도 없다”며 “반도체 장비·소재만 해도 일본이 수출을 포기하면서까지 싸움을 걸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도 “무역보다는 한류 등 문화적 측면에서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봤다.

다만 안심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반도체 업계의 한 임원은 “반도체 공정 중에 장비 세정에 쓰이는 ‘세정용 불화수소’에 대한 일본 수출 금지 얘기가 나오는데, 실제 집행될 경우 새로운 대체재를 찾아야 하는 우리 기업으로서는 비용 부담과 혼란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민간 차원의 네트워크도 가동되고 있다. 1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는 ‘제20회 한일신산업무역회의’가 열렸다. 이는 한일경제인회의 산하 전문위원회 중 무역투자·기계공업·산업일반 등 3개 위원회가 통합돼 신설된 회의체다. 한국 대표격인 오석송 의장(메타바이오메드 회장)은 “새로운 한일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양국 간 협력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민주·구경우·박효정기자 parkmj@sedaily.com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