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학의 폭로전'으로 변질된 박영선 인사청문회... 한국당 보이콧 '파행'

중기·과기·행안 장관후보자 청문

박 후보자 "황교안에 동영상 언급하며 김학의 입각 만류"

황 대표 "그런 CD 본 기억없다. 택도 없는 소리" 반발

조동호는 외유성 출장·아들 의혹 도마에...野선 사퇴 요구

진영 '朴·文 양정권 입각' 놓고 여야 정체성·소신 평가 갈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언론에 보도됐던 ‘평창동계올림픽 논란’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연합뉴스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2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언론에 보도됐던 ‘평창동계올림픽 논란’에 대해 해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영선(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과거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시절, 당시 법무부 장관이었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를 만나 김학의 전 차관 별장 성 접대 동영상을 언급한 뒤 임명을 만류했다고 27일 밝히면서 여야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가 연 박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자료 미제출 등으로 여야가 격돌하면서 시종일관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하지만 박 후보자의 해당 발언 이후 한국당이 인사청문회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결국 파행됐다.

박 후보자 발언은 “과거 국회 법제사법위원장 시절 김 전 차관 별장 성 접대 의혹 수사가 잘 됐는지, 권력이 비호한 건 아닌지 등을 밝혀야 했는데, 일을 제대로 못 한 건 아니냐”는 이용주 민주평화당 의원 질의에서 비롯됐다. 박 후보자는 이에 “(별장 성 접대) 동영상을 본 적이 있으며, 당시 국회에서 황교안 법무부 장관을 만나 이를 언급하며 만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후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거듭된 질의에 “당시 (동영상이 담긴) CD를 법사위에서 좀 봤더니 여성이 보기엔 부적절해 처음에 좀 보다가 말았다”며 “그것을 많이 본 분이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이라고 밝혔다. 특히 “황 전 장관이 해당 CD에 대해 처음 들어보는 듯한 느낌이었느냐”는 질문에는 “인지하고 계셨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당시 장관이었던 황 대표가 김 전 차관의 별장 성 접대 의혹을 알고도 묵인했다는 의심이 가능한 대목이다.


황 대표는 “택도 없는 소리”라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법사위가 열리면 (법무부 장관이) 위원장실에 가는데 (김 전 차관과 관련한 이야기를 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그런 CD를 본 기억이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검증을 해보니 문제가 없더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이후 김 전 차관이 임명된 뒤 별장 성 접대 의혹 이야기가 나왔다는 게 황 대표의 주장이다.

관련기사



인사검증 자리에서 폭로의 장으로 변한 박 후보자 청문회는 파행 전까지도 여야 간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다. 박 후보자가 인사검증에 필요한 자료를 ‘개인정보 보호’라는 이유로 제출하지 않아 인사청문회가 ‘깜깜이’로 전락했다는 야당 반발에 여당이 ‘무리한 요구’라고 맞불을 놓은 탓이다. 한국당 의원들은 시작부터 ‘박영선 자료제출 거부, 국민들은 박영선 거부’라는 문구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여당은 “뭐하는 짓이냐” “중단하라”며 항의했다. 양측이 자료제출 문제를 놓고 충돌하면서 의사진행에만 1시간 이상이 소요될 정도였다. 이후에도 인사청문회는 윤성빈 특혜 응원·평창 패딩 입수·유방암 수술 자료 제출 논란까지 겹치며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달았다. 윤한홍 한국당 의원이 서면 질의에서 ‘유방암 수술을 받은 일정’ 자료제출을 요구한 데 대해 박 후보자가 “여성에 대한 섹슈얼 허레스먼트(성희롱)”이라고 맞서면서 분위기는 냉각됐다. 특히 황 대표에 대한 박 후보자의 발언 이후 상황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결국, 한국당이 ‘내로남불, 위선자의 대명사가 된 박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거부하겠다. 자진 사퇴하기 바란다’는 성명서를 낭독한 뒤 청문회장에 나타나지 않으면서 파행으로 마무리됐다.

한편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에서는 외유성 출장, 아들 관련 의혹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야당은 조 후보자를 거세게 몰아붙이며 사퇴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조 후보자는 “출장 계획에 입각해 서류를 내고, 출장을 다녀와서 보고한 것 같다”며 “제가 알기에는 허위가 없다”고 수차례 해명했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진 후보자가 박근혜 정부 초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데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도 행안부 장관에 지명됐다는 점에서 ‘정체성’과 ‘소신’을 두고 여야 양측이 다른 평가를 내렸다.
/안현덕·하정연기자 always@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