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경찰은 보이스피싱과의 전면전을 선포하고 경찰 모든 부서를 총동원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
2일 경기남부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관내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총 5,883건, 피해액은 707억여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발생 건수는 47.8%, 피해액은 68.9% 늘었다.
하루 평균 16명의 피해자가 발생했고, 1억6,000만원의 피해금이 보이스피싱 일당에게 넘어간 셈이다.
피해 규모도 해마다 커져 지난 2016년에는 2,407건(219억원), 2017년 3,980건(419억원), 2018년 5,883건(707억원) 등 매년 50% 가까이 늘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를 수법별로 살펴보면 금융기관을 사칭해 대출금 상황 등을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하는 ‘대출사기형’이 5,076건(8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피해액도 506억원으로 71%를 차지했다.
검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해 자금 이체를 유도하는 ‘기관사칭형’은 807건이었다. 특히 최근에는 대출 진행이나 수사절차 등을 빌미로 악성코드를 심은 스마트폰 앱 설치를 유도하는 수법이 기승을 부리며 피해가 커졌다.
이 앱을 휴대전화에 설치하면 실제 기관번호로 전화를 걸더라도 사기범에게 착신이 전환돼 확인 전화가 불가능해진다. 피해금을 가로채는 방식으로는 계좌이체로 인한 송금이 92.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진화하는 범죄 수법으로 인한 도민의 재산 피해를 막기 위해 경찰 전 부서와 금융기관 등 유관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보이스피싱 총력 대응에 나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방청 2부장(경무관)을 팀장으로 수사·형사 등 11개 부서가 참여하는 ‘전화금융사기 대응 TF팀’을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 TF팀은 보이스피싱 대응전략과 추진방향을 지속해서 점검하고, 경찰 부서 간 유기적 협조 체계를 이끌어 나갈 방침이다.
피해자 유형별 맞춤형 홍보도 추진한다.
보이스피싱 피해 비율이 높은 20∼30대 여성(기관사칭형), 40∼50 중년(대출사기형)에 대해서는 세대별 접근성이 높은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해 홍보하고, 범죄 정보에 취약한 60대 이상 고령층은 대면 홍보를 강화한다.
또 보이스피싱 집중 홍보기간을 연 2회로 확대 시행하고, 공공·민간기관과 홍보협의체를 구성해 대중교통·금융기관 미디어, 대형 전광판 등 광고매체를 최대한 활용해 전 도민을 대상으로 한 홍보 활동도 전개할 계획이다.
보이스피싱 전화 차단을 위한 대책으로 범죄 이용 전화번호에 대한 이용정지를 강화하는 한편, 유령법인 명의 개설전화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이용된 것이 확인될 경우 일괄 이용 정지조치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금융기관에 고액 현금인출자 등 보이스피싱 피해 의심 때 112신고 등 적극적 대응으로 현장 예방 및 검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금융기관과 협력체제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