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드·GM·도요타 자율차 '삼각동맹'

안전표준 공동개발키로

포드 로고포드 로고



완성차 업체인 미국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일본의 도요타가 자율주행차 안전표준을 함께 개발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3개사가 안전한 자율차 운행을 위한 표준 틀을 만들기 위한 컨소시엄(Automated Vehicle Safety Consortium·AVSC)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자율차 주행시험 중 사고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3월 미국 차량공유업체 우버는 자율차 시험운행을 하다 보행자 사망사고를 냈고 5월에는 테슬라 ‘모델S’ 운전자가 자율주행 모드로 달리다가 좌회전하는 트레일러와 충돌해 숨졌다. 업계에서 자율주행의 기술적 측면보다 안전요소가 더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WSJ는 “자율차는 우버 사고 이후 점검이 강화되고 있다”며 “3개사 컨소시엄은 정보기술(IT) 업체가 아닌 자동차 제조사들끼리의 협력이라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GM 로고. /GM홈페이지GM 로고. /GM홈페이지


3개사는 강해진 정부의 자율차 시험규제 완화도 바라고 있다. WSJ에 따르면 맨해튼에서 자율차 시험을 하려던 GM은 빌 드 블라시오 뉴욕시장이 자율차의 안전에 우려를 표시하면서 해당 계획을 보류했다. 랜디 비신테이너 포드 자율차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컨소시엄의 목표는 기업 및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향후 법규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자율차 표준을 만드는 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전 컨소시엄 출범으로 자율차 개발전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르노·닛산은 구글 웨이모와 손을 잡았고 GM은 혼다·소프트뱅크와 기술동맹을 맺었다. 도요타는 우버·소프트뱅크, 인텔은 폭스바겐·포드와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도요타 로고도요타 로고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