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농협금융 디지털혁신캠퍼스 출범

디지털R&D센터 및 핀테크혁신센터 구성

신기술 사업모델 발굴하고 업무 효율성 제고

입주 핀테크 기업엔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

김광수(오른쪽)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이대훈(오른쪽 세번째) 농협은행장이 8일 서울 서초구 NH디지털혁신캠퍼스에서 열린 ‘NH디지털혁신캠퍼스 출범식’에서 최종구(〃두번째) 금융위원장에게 다기능 스마트 자동화기기(ATM)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농협금융김광수(오른쪽) NH농협금융지주 회장과 이대훈(오른쪽 세번째) 농협은행장이 8일 서울 서초구 NH디지털혁신캠퍼스에서 열린 ‘NH디지털혁신캠퍼스 출범식’에서 최종구(〃두번째) 금융위원장에게 다기능 스마트 자동화기기(ATM)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농협금융



NH농협금융지주가 8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디지털 연구개발(R&D) 겸 핀테크 육성 공간인 NH디지털혁신캠퍼스의 문을 열었다.


혁신캠퍼스는 디지털R&D센터와 NH핀테크혁신센터로 구성됐으며 총 2,080㎡ 규모에 달한다. 디지털R&D센터는 농협은행의 자체 디지털R&D 총괄 공간으로 25석이 마련됐으며 농협은행의 오픈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활용한 혁신 사업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AI 기반의 로봇자동화(RPA), 챗봇 등 자동화로 내부 업무 효율성도 높일 방침이다.

관련기사



NH핀테크혁신센터는 농협은행이 지난 2015년 설립한 스타트업육성지원센터를 확대·이전한 것이다. 센터에는 스타트업 전문 육성 프로그램에 선정된 33개사가 입주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올해 공모에 지원한 190개 기업 가운데 농업·식품 관련 기업 5개사, 금융 관련 기업 19개사, 부동산 관련 기업 5개사, 기타 기업 4개사가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경영단계별로 농협금융 전문가들의 컨설팅을 받고 초기 운영자금을 지원받는다. 농협금융은 200억원 규모로 조성한 디지털혁신펀드의 최우선 투자 대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농협금융은 올해 신규 직원 채용 전형부터 디지털 사고방식과 역량을 가진 인재를 선별하는 방안을 적용하고 직군과 상관없이 모든 신규 직원에게 정보기술(IT)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내년까지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1,000명 이상을 양성할 계획이다.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은 환영사에서 “NH디지털혁신캠퍼스는 미래 금융 생태계의 중심이자 농협금융 디지털 전환의 핵심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