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감사원 "중기부,中企 마케팅 지원사업 비효율적"

중기부, 2017년 中企 유통망 지원사업 이유없이 폐지

감사원 "유통망 지원사업 간 연계, AS채널 다양화해야"




감사원이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제품 판매를 늘리기 위해 추진하는 여러 지원사업이 제대로 연계되지 않고 있다고 9일 지적했다.

감사원은 이런 내용의 ‘중소기업 판로지원사업 추진실태’ 감사 결과를 이날 공개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에 대해 매년 마케팅 역량 강화, 유통망 진출, 공동 AS(애프터서비스) 지원사업을 하는 중기부는 2015∼2016년 마케팅 역량 강화를 지원받은 기업이 유통망 진출을 희망하면 유통망 진출 지원사업 대상자로 자동선정하거나 선정 시 가점을 줬지만 2017년과 지난해에는 이를 특별한 사유 없이 폐지했다.

이에 따라 두 사업간 연도별 연계지원 비율이 2015년 65.8%에서 2016년 54.8%, 2017년 45.5%로 매년 떨어져 제품과 홍보 전략을 개선한 중소기업들이 정작 유통망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중기부는 또 중소기업 제품의 유통망 진출을 지원하면서 소비 트렌드에 맞게 온·오프라인을 연계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중소기업제품 전용판매장), 온라인 기획전, TV 홈쇼핑 등 유통망별 정책을 고수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 결과 온라인 기획전을 지원받은 중소기업 가운데 오프라인 매장에 입점한 기업이 2015년 45.8%(206개)에서 지난해 14.3%(16개)로 매년 감소하는 등 판로 ‘시너지 효과’가 떨어졌다.

AS 시스템이 없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 중인 공동 AS 콜센터의 경우에도 중기부는 상담 채널을 이메일·모바일 등으로 다양화하지 않고 전화 상담만 운영해 소비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공동 AS센터 지원은 최장 5년만 가능한데 일부 기업은 5년간 지원받은 뒤 거래 관계나 특수관계에 있는 기업의 명의를 이용해 해당 사업을 다시 지원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중기부 장관에게 “마케팅 역량 강화 지원사업과 유통망 진출 지원사업 간의 연계, 온·오프라인 유통망 진출 지원사업 간 연계를 강화하고 AS센터 상담 채널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전달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