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D램 수출물가 5.2%↓...개월째 하락

<한은, 3월 수출입물가 발표>

수입물가 3개월째 올라

소비자 물가 상승 우려




원·달러 환율과 국제유가 동반 상승의 영향으로 수출물가 상승률이 8개월 만에 최고를 찍었다. 그러나 주력 수출 품목인 D램 수출물가는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지속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2019년 3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출물가지수(2010년=100·원화 기준)는 83.36으로 한 달 전보다 0.5% 올랐다. 하지만 D램의 수출물가는 5.2% 내렸다.


수출 물가가 오른 것은 원·달러 환율이 한 달 전보다 0.7% 오르고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3.6% 상승한 영향이 크다.

관련기사



수입 물가도 뛰어올랐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기조가 당분간 지속돼 수입 물가 상승이 장기화된다면 소비자물가 상승과 무역수지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수입물가지수는 87.61로 전월 대비 1.3% 상승했다. 3개월 연속이다.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물론 현재 물가가 0%대를 유지하고 있어 당장 큰 폭으로 오르지는 않겠지만 결국 생활과 밀접한 수입 소비재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다면 국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입 물가 상승은 무역수지에도 영향을 준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12~2014년 우리나라 원유 및 석유제품 수입물량은 각각 약 12억배럴이고 수입 원유 등을 정제한 후 재수출되는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약 4억배럴이다. 유가가 오르면 약 8억배럴만큼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셈이다. 수출 부진에 수입 물가가 상승하다 보니 무역적자 폭 확대가 우려된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