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을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혼남녀는 1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같은 견해는 미혼남성이 미혼여성보다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20∼44세 미혼남녀 2,464명(남 1,140명, 여 1,324명)을 대상으로 한 혼인에 대한 태도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전적으로 찬성’한다는 비율은 미혼남성이 14.5%, 미혼여성은 10.8%를 기록했다. ‘결혼식 개최에 대체로 찬성한다’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미혼남성이 58.2%, 미혼여성이 45.2%로 조사됐다.
미혼남성의 적극 찬성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24세 14.5%, 25∼29세 16.8%, 30∼34세 15.1%, 35∼39세 13.5%, 40∼44세 7.7% 등이었다. 미혼여성의 적극 찬성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24세 11.4%, 25∼29세 12.2%, 30∼34세 11.1%, 35∼39세 5.5%, 40∼44세 9.5%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9.9%, 대학 재학 10.5% 대졸 이상 11.1%였다. 취업 별로는 취업 10.9%, 비취업 10.5% 등이었다.
미혼여성의 적극 찬성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24세 11.4%, 25∼29세 12.2%, 30∼34세 11.1%, 35∼39세 5.5%, 40∼44세 9.5%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9.9%, 대학 재학 10.5% 대졸 이상 11.1% 등이었고, 취업 별로는 취업 10.9%, 비취업 10.5% 등이었다.
전체적으로 미혼남녀 모두 찬성 응답 성향이 절반 가깝게 나오긴 했지만, 적극적 찬성은 10%대의 매우 낮은 비율에 머물렀다.
연구팀은 혼인과 관련된 형식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자신의 판단과 결정을 더 중요시하는 추세가 강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응답자의 연령별, 교육수준별, 취업별 등과 같은 특성에 상관없이 적극 찬성 응답에서 비슷한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결혼에서 기존의 전통적 가치 규범보다는 자신의 주관적 선택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