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사회학자도 안돼”…학문교류 문잠그는 美

지난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에 앞서 직원들이 양국 국기를 정리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지난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에 앞서 직원들이 양국 국기를 정리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미국의 중국 학자와 전문가 배제가 기존 과학기술계에서 사회학계로 확산되고 있다. 일부 중국인 사회과학자들에 대해 스파이 행위를 우려해 비자를 취소하는 등 미국으로의 입국 통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중국 정보기관과 연계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학계 인사들의 미국 입국을 막기 위한 방첩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 학계와 이들의 미국 측 카운터파트를 인용, 지난해 사회과학 분야 교수나 전문가 등 약 30명에 달하는 중국 측 인사가 미국 비자를 이미 취소당하거나 취소 여부에 대한 검토대상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 정부 산하 최고의 싱크탱크로 간주되는 사회과학원 소속 학자들이 주요 표적이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의 우바이이 소장은 1월 미 애틀랜타에서 열린 카터센터의 한 행사에 참석할 당시 FBI의 조사를 받은 뒤 비자가 취소됐다. 수년 전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6개월을 보냈던 사회과학원의 루시앙 연구원도 지난해 미국 비자가 취소됐다.

관련기사



NYT는 과거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을 ‘미국적 가치’에 노출시키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미국이 중국 학자들을 환영했지만 “양국이 전략적 경쟁을 강화하고 상대에 대한 스파이 행위나 상업적 절도, 정치적 개입 등을 의심하면서 미국이 문을 닫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해 크리스토퍼 레이 FBI 국장이 국회 상원청문회에서 “중국은 전사회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전사회적인 위협”이라고 밝힌 이후 나온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화웨이 등 과학기술 분야와는 달리 사회과학에 대한 미국의 비자 제한 조치에 대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미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SD) ‘21세기 차이나센터’의 수전 셔크 센터장은 “그들(중국 학자들)은 좋은 미·중 관계의 강력한 옹호자들”이라면서 “중국 내 최고의 미국 친구들을 멀리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중국도 자신들이 민감하게 여기는 분야에 대해 미국인 학자들의 비자를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미국 정부의 정책을 옹호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