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지진 재난문자 또 논란..."재난방송 안 하는데 대체 뭘 봐?"

느려터진 재난문자에 시민 분통

지진 나자 대피하는 학생들 / 연합뉴스지진 나자 대피하는 학생들 / 연합뉴스



19일 오전 11시 16분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4㎞ 해역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해 강원지역이 크게 흔들렸지만 재난문자가 지역에 따라 20∼50분이나 늦게 발송돼 주민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날 지진으로 동해를 비롯한 강릉·삼척·양양·속초·고성 등 해안 도시에서는 건물이 크게 흔들릴 정도로 큰 진동이 느껴졌다. 지진 직후 트위터 상에는 지진을 느낀 강원 지역 시민들이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들은 “의자가 흔들렸다”, “수업 듣다 건물이 크게 흔들려서 깜짝 놀랐다”, “동해에 지진 났는데 왜 재난 알림 안 와요”라는 반응을 보였다.


해당 지역 지자체는 주민들이 진동을 느낀 한참 뒤에야 재난문자를 늑장 발송해 논란이 됐다. 삼척시가 가장 빠른 11시 29분께 지진 발생 소식을 알리며 ‘여진 등 안전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라는 재난문자를 보냈으나 이미 지진이 발생한 지 13분이나 지난 뒤였다. 8분이 지난 11시 37분께 강릉시가, 11시 39분께 태백시가 재난문자를 보냈다.

건물이 출렁거릴 정도로 큰 진동이 느껴진 속초지역에는 지진이 일어난 지 30분이나 지난 11시 46분이 돼서야 재난문자가 발송됐다.



동해시와 양양군은 11시 54분께, 고성군은 무려 50분이 더 지난 낮 12시 9분에서야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주민들은 “재난문자가 느려 터졌다. 다 죽고 문자가 날라 오려는 건가” 등의 불만을 터뜨렸다. 또한 “재난문자가 너무 늦게 온다”, “재난문자보다 SNS가 빠르다” 는 등 불만도 SNS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문자 내용도 논란이다. ‘여진 등 안전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공터 등으로 이동해 안전에 유의하고, 해안가 접근을 자제하시기 바랍니다’ 등 대피요령 안내가 없는 교과서적인 얘기뿐이었다.

태백에서는 ‘여진 대비 TV 등 재난방송 청취 바랍니다’라고 보냈으나 주민들은 “아무런 재난방송도 나오지 않는데 대체 뭘 보라는 거냐”며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강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번 지진으로 현재까지 문의 전화 100여건을 접수했으며 다행히 사람이 다치거나 건물이 파손되는 등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