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시그널] 발전산업 부진에…효성重, 결국 무급휴직 실시

발전시장 침체에 'ESS 화재' 겹쳐

중공업부문 5년 만에 영업적자

전력부문 대상 무급휴직 신청받아

"ESS 불확실성에 선제적 인력조정" 평가도




효성중공업(298040)이 무급휴직을 시행한다. 탈원전·탈석탄 정책에 따른 발전시장 침체와 무리한 신재생에너지 확대에다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발생으로 되레 중공업 부문의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인력조정을 구조조정 신호탄으로 읽기도 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을 제외한 발전시장은 위축되고 있고 ESS의 화재원인 규명도 장기화해 관련 산업의 성장이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효성중공업이 다음달 1일부터 희망자를 대상으로 무급휴직을 실시한다. 대상자는 중공업 부문 내 전력담당 임직원, 창원공장 관리직, 구매팀 등으로 휴직기간은 약 6개월이다.


효성중공업 내·외부에서는 구조조정설이 지속적으로 나돌았다. 중공업 사업 실적이 악화되고 부채 비율 등 재무 상황마저 좋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ESS 화재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작용했다.



효성중공업은 크게 ‘중공업 부문’과 ‘건설 부문’으로 사업부가 나뉜다. 중공업 부문은 전력 기자재 및 전동기·풍력발전기 등 전력사업을, 건설 부문은 주택공급을 주 사업으로 한다. 건설사업부의 실적은 괜찮다. 지난 2013년 246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후 2014년 259억원, 2017년 913억원, 지난해에는 1,4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반면 중공업사업부는 2016년 1,890억원, 2017년 808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뒤 지난해 334억원의 적자에 빠졌다. 중동 및 한국전력 등 국내외 고객사들의 실적 악화로 수주에 어려움을 겪었다.

관련기사



향후 실적개선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정부의 탈원전·친환경 에너지 강화 정책에 따라 효성중공업은 태양광·풍력발전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인 ESS 자체 브랜드 ‘E-Pack’을 개발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강화해왔다. 하지만 2017년부터 원인 모를 ESS 화재가 연일 발생하면서 시장에서 ESS 발주가 멈춘 상태다. 지난해까지는 정부의 각종 보조금 및 인센티브 제공으로 ESS 시장이 호황을 보였지만 당장 올 1·4분기부터 시장의 침체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에는 정부의 수소차 육성 정책에 따라 수소충전소 설치 및 운영을 신사업으로 삼고 있지만 수소차 보급 지연과 안정성 문제 등으로 해당 사업에서 아직 큰 실적이 나오지 않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효성중공업은 화력·원자력 등 다양한 발전소에 변압기 등을 납품하며 성장한 회사”라며 “정부의 친환경 정책 기조에 발맞춰 ESS 사업에 적극 나섰지만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선제적으로 인력조정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분석에 따르면 무급휴직 대상자도 중공업 부문 내 전력사업의 직원이 주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무급휴직 신청 대상자로 전력PU(Performance Unit) 직원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효성중공업 재무 상황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도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1년 이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 차입금은 7,467억원, 장기 차입금은 3,140억원으로 순자산 9,047억원보다 차입금이 많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이자비용만 287억원에 달해 영업이익의 57%가량을 이자 갚는 데 썼다.



한편 업계는 이번 효성중공업의 무급휴직에 대해 대규모 구조조정보다는 직원들에게 자기계발 시간을 주는 방식으로 유휴인력을 관리하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휴직기간을 근속연수에 포함하는 등 휴직에 대한 직원들의 부담을 줄였다. 다만 ESS 사업 표류가 장기화할 경우 무급휴직이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