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아마존, IT업계 로비금액 1위…1분기 워싱턴 정가에 44억원 살포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왼쪽)와 래리 페이지 알파벳(구글 모회사) CEO. /사진=연합뉴스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왼쪽)와 래리 페이지 알파벳(구글 모회사) CEO. /사진=연합뉴스



미국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올해 1·4분기 워싱턴 정가에 44억 원 이상을 뿌리며 미 정보기술(IT)업계 최대 로비업체 자리를 차지했다. 기존 1위였던 구글을 아마존이 밀어낸 것은 10여 년 만에 처음이다.

블룸버그통신은 23일 미 의회 자료를 인용해 “아마존이 올해 1∼3월 워싱턴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 쓴 자금이 390만 달러(44억5,000만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40만 달러(38억8,000만 원)보다 많았다고” 보도했다. 아마존은 지난해 4분기(370만 달러)에 이어 연이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반면 구글은 지난해 1분기 500만 달러를 쓴 데 비해 올해 1분기에는 340만 달러로 지출이 감소했다.


이 밖에 페이스북은 330만 달러에서 340만 달러로 소폭 상승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1·4분기보다 21% 증가한 280만 달러를 사용했다. IBM 로비 자금은 35% 이상 늘어난 200만 달러, 오라클은 약 9% 증가한 130만 달러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한편 민주당이 하원 다수당 지위를 회복함에 따라 새 의회에서 헬스케어, 무역 합의, 개인정보 보호 등에 중점을 둔 의제가 논의되는 데 맞춰 로비업계도 분주해지고 있다. 통신업계에 따르면 T모바일과의 합병을 추진하는 스프린트가 전년동기대비 70% 이상 많은 140만 달러를 지출했다. 또 지난 2월 타임워너 인수를 마친 AT&T가 지난해 1분기 대비 37% 감소한 260만 달러를 썼다.

그 밖에 737 맥스 추락 사고로 위기를 맞은 보잉은 지난 10년간 미 정가에 뿌린 돈을 3배 가까이 늘린 것과 달리 올해 1·4분기엔 10%가량 감소한 330만 달러를 썼다. 앞서 737 맥스 사고는 의회 안팎에서 보잉과 항공 당국의 유착 관계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켰으며 연방 검찰, 의회가 앞다퉈 조사에 나섰다.

로비 단체 중에서는 미국상공회의소가 1,650만 달러를 썼다. 지난해 1분기에는 1,540만 달러였다. 미국상공회의소는 지난 2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이유로 부과하는 수입 관세에 대해 의회가 견제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을 다른 단체들과 함께 지지하기도 했다./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