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cience&Market] 수소전기차의 오해와 진실

수소추출때 온실가스 배출 거의 없고

대량생산 체제 구축하면 경제성 확보

김세훈 현대차 상무김세훈 현대차 상무



정부가 지난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며 수소경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수소전기차와 수소산업에 대한 오해가 적지 않다. 팩트 체크가 필요한 것이다. 그중 수소가 환경적이지 않다거나 경제성이 없다는 오해가 대표적이다.

우선 수소전기차가 사실은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주장이 있다. 현재 가장 경제적인 수소 생산 방식은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천연가스는 현재 사용되는 화석연료 중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적은 친환경적인 연료이다. 수소를 추출하기 위해 열분해라는 화학적 과정을 거칠 때 수소와 이산화탄소 이외의 이산화질소,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는 쉽게 포집이 가능하며 소방, 탄산음료 등 탄산산업 원료로 사용된다. 따라서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방식은 화석연료를 가장 친환경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수소가 친환경적인 또 다른 이유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할 경우 완전한 온실가스 제로를 실현할 수 있어서다. 수소는 재생에너지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재생에너지는 생산하고 싶을 때 생산하기 어렵고 변동성도 매우 큰 에너지원이다. 재생에너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저장이 필수적인데 수소를 이용하면 재생에너지를 가장 경제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면 재생에너지의 확산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고 수소를 온실가스 제로 에너지로 만드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는 비싸고 경제적이지 않다고 보는 시각도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시점에서 본다면 그런 주장이 일견 맞는 말일 수도 있지만 비용이 더 이상 떨어질 수 없다는 의미를 포함한다면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관련기사



지난 10년여간 수소전기차의 성능이 크게 개선됐고 비용도 매우 빠르게 하락했다. 대량생산 체제가 구축되고 핵심소재 및 부품의 국산화가 추가적으로 이뤄지면 비용이 더 빠르게 떨어질 것이다. 미국 에너지부(DOE)에 따르면 연료전지 가격이 연산 3만대를 생산하면 1,000대 생산할 때에 비해 60.3%의 원가가 절감되며 50만대를 생산하면 추가적으로 43.2%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온다. 따라서 우리 정부의 로드맵에 따라 대량생산 체제가 구축되는 2020년대 중반 이후에는 더 이상 보조금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충전소의 높은 구축 비용도 수소전기차의 비경제성을 지적할 때 단골로 등장하는 메뉴다. 핵심은 수소충전소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수요가 충분하지 않은 지금은 적자를 피할 수 없지만 정부는 보조금을, 민간은 SPC 설립을 통해 고통을 나눔으로써 적자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 현대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과 회사의 적극적인 생산·판매계획, 정부와 국회의 보조금 확대가 어우러지면 적자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민간투자가 활성화돼 수소충전소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수소전기차는 얼마 전까지도 수소폭탄으로 오해를 받았다. 지금은 그런 사람이 많지 않지만 수소폭탄에서 그 형태만 바꾼 또 다른 오해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물론 수소전기차와 수소산업 전반에 걸쳐 풀어야 할 숙제가 적지 않지만 수소에너지를 포기해야 할 이유가 아니라 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가 된다. 궁극적인 친환경에너지인 ‘수소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오해는 풀고 기회를 잡으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김세훈 현대차 연료전지사업부장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