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 산단 완충저류시설 '속도'

사고시 유독성물질 하천유입 차단

市, 5,600억 투입 13곳 순차 설치

울산 산업단지 사고 때 유독성 물질이 하천이나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막는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이 본격화된다.

울산시는 24일 남구 석유화학단지에서 석유화학공단협의회 회원사와 시공사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미포국가산단(석유화학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 안전기원제와 함께 사업 추진상황 설명회를 열었다.


사업은 국비 300억원을 포함한 총 429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저류량 3만7,000톤 규모의 완충저류시설을 2021년 6월까지 준공한다. 이번에 설치되는 완충저류시설은 산업단지 내 사고로 발생되는 유독 사고유출수와 오염물질이 함유된 초기 우수의 하천 유입 차단하기 위한 수질오염방지시설로, 현재 터파기 공사가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울산에서는 석유화학단지에 먼저 설치된다. 석유화학단지는 1971년에 조성된 노후 산단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량이 연간 900만톤에 이르며 폐수 유출량도 하루 10만톤에 달한다. 그러나 유출수나 비점오염 등에 대한 안전장치가 없어 오염물질이 배수로를 통해 두왕천이나 외황강으로 유입돼 시민 건강과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완충 저류시설 설치가 완료되면 산업단지 내 수질오염 사고 발생 시 오염물질을 완충저류지로 유입 처리해 두왕천 및 외황강 오염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 비점오염원이 많이 함유된 초기 빗물 처리도 가능해져 수질 개선에도 기여하게 된다.

울산시는 지난 2016년 전체 산업단지에 대해 완충저류시설 설치·운영방안을 수립했다. 이번 울산미포국가산단을 시작으로 온산국가산단, 신일반산단, 길천산단, 하이테크벨리산단 등 5개 산단 13곳에 순차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총 5,606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수질오염 사고 예방과 수질 개선은 물론 안전한 도시로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완충저류시설를 설치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