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일왕의 등장에도 한일관계는 최악이다. 지난해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로 불거진 한일 외교갈등이 경제와 사회·안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5월에 개최될 예정이던 한일경제인회의는 갑작스럽게 9월로 연기됐다.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가 경제보복 조치를 공개적으로 언급할 정도이니 관계악화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과거 한일관계가 최악의 상황이었을 때도 외교와 경제는 투트랙 전략에 따라 움직였지만 최근 불편한 양국관계는 기업 협력과 민간에까지 악영향을 주고 있다.
양국은 경제뿐 아니라 인적교류 등에서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지난해 한일 교역규모는 852억달러로 일본은 중국·미국에 이어 우리의 3위 교역국이다. 지난해 일본을 찾은 한국인은 750만명을 넘어 역대 최대다.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도 292만명으로 전년보다 28% 늘었다. 양국관계가 지금과 같은 파국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큰 손실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은 상식이다.
더구나 양국 간에는 북한 비핵화와 경제협력 등 협력할 사안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는 실무협상으로 풀기에는 사안이 너무 커져 버렸다. 양국이 하루속히 정상회담을 열어 관계개선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당장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는 얽히고설킨 양국관계의 실타래를 풀 좋은 기회다. 갈등 요인이 중첩돼 있어 해결이 쉽지 않지만 관계 회복을 늦추면 그만큼 손실이 커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