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삼바 회계사들 거짓말 드러나…'윗선' 지시 전모 규명"

"삼바 측 증거인멸 조직적·광범위…상응하는 책임 물을것"

에피스 임직원 2인 구속 이어 '인멸 지시' 삼성전자 상무도 소환

/연합뉴스/연합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증거인멸 입증을 통해 ‘윗선’의 지시 등 그룹 차원의 대응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검찰 관계자는 “(삼성바이오 측의) 증거인멸이 조직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뤄진 부분에 대해서 사실관계가 상당히 확인됐다”면서 “전모를 규명하고 상응하는 책임을 묻는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현재 증거인멸과 이를 지시한 인물들을 역추적하면서 수사망을 좁히고 있다. 지난달 29일에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임직원 2명이 증거인멸 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2017년 삼성바이오에 대한 금융감독원 특별감리 및 검찰 수사에 대비해 관련 회계자료 등을 삭제한 혐의를 받는다. 당시 법원은 “범죄 혐의가 소명되고, 증거인멸 염려가 있는 등 구속 사유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특히 검찰은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의혹 중 핵심인 에피스의 콜옵션 평가 부분이 조작·삭제됐다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 측은 “설립 초기 에피스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해 콜옵션을 부채로 인식하지 않았다”고 주장해왔다.

관련기사



검찰은 검찰 조사를 통해 회계법인 관계자가 과거에 사실과 다른 말을 했다고 인정했다는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그간 과거에 회계사들이 주장하던 내용과 배치되는 것이 객관적으로 드러나고, 관련 회계사들이 거짓말을 했다는 부분도 파악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 및 금융위 산하 증권선물위원회 조사에서 삼성바이오의 요구로 “콜옵션 조항을 파악하고 있었다”고 말을 맞췄다는 것이다. 반면 전날 서울고등법원 행정11부(김동오 부장판사)에서 열린 집행정지 항고심에서 삼성바이오는 “회사는 2012년부터 콜옵션과 관련된 내용을 회계법인에 제출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검찰은 지난달 28일 삼성전자 백모 상무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백 상무는 직접 현장에 나가 에피스 직원들의 휴대전화 등을 검사하는 등 증거인멸을 지휘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현재는 미래전략실의 후신으로 불리는 삼성전자 사업지원 TF(태스크포스) 소속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2017년 콘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을 공식 해체했으나 그룹 차원의 핵심 임무는 삼성전자 사업지원 TF가 물려받았다.

검찰 관계자는 “(조직차원의 개입이) 있다면 사실관계를 명확하게 밝히고 이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도록 하겠다”면서 “실제로 실행자인 하급 직원들까지 구속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백모 상무 등 증거인멸을 지시했다고 보이는 인물들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필요하다면 신병확보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