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이미지센서' 제2 메모리로 키운다

6400만화소 모바일용 센서 개발

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 센서사업팀장(부사장)이 이번에 업계 최초로 개발한 6,400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박용인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 센서사업팀장(부사장)이 이번에 업계 최초로 개발한 6,400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삼성전자(005930)가 ‘이미지센서’를 제2의 메모리반도체로 키운다. 이미지센서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 정보를 전기적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반도체다. 스마트폰 카메라 채용 확대와 전장용 수요 등으로 고성장이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이 분야에서 소니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서겠다는 각오다.

1016A13 전장스마트폰용카메라야근1016A13 전장스마트폰용카메라야근


삼성전자는 9일 업계 최초로 0.8㎛(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1m) 초소형 픽셀을 적용한 초고화소 이미지센서 신제품 ‘아이소셀 브라이트 GW1(6,400만화소)’과 ‘아이소셀 브라이트 GM2(4,800만화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제품 출시로 0.8㎛ 픽셀 이미지센서 라인업을 2,000만화소부터 3,200만·4,800만·6,400만화소까지 확대했다.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이미지센서 라인업 중 가장 작은 픽셀 크기인 ‘0.8㎛’의 픽셀을 적용하고 고화소를 구현했다. 최근 스마트폰용 카메라 크기를 최대한 줄이는 추세에 맞춘 것이다. 삼성은 올 하반기부터 이 제품 양산에 들어간다.


삼성은 특히 업계 최초로 0.7㎛ 기술을 적용한 제품 개발에 도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업계 1위를 탈환하겠다고 밝혔다. 박용인 시스템LSI 사업부 센서사업팀장(부사장)은 “작게 만들면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삼성만의 DNA를 이미지센서에서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이 이처럼 이미지센서 기술 개발에 힘을 싣는 것은 앞으로 관련 시장이 급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용 이미지센서 시장만 해도 스마트폰 정체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채용 증가로 성장세가 꾸준하다. 권진현 센서마케팅팀장(상무)은 “듀얼 카메라가 출시된 후 채용률이 20%를 넘기는 데 34개월이 걸린 반면 트리플 카메라는 18개월밖에 안 걸렸다”고 설명했다. 시장조사업체 TSR에 따르면 스마트폰용 카메라 시장은 지난해 36억대 규모에서 오는 2023년 53억대로 3배 이상 커진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전후방 모니터링용 등으로 쓰이는 전장용 시장도 같은 기간 2억2,700만대에서 3억7,900만대로 6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부사장은 “지금까지는 모바일에 우선순위를 뒀지만 전장용 센서도 준비하고 있다”며 “이미 고객과 공급 협의 중”이라고 소개했다.

비이미지센서 사업도 본격화해 센서 사업을 제2의 메모리반도체로 키우겠다는 야심도 밝혔다. 삼성에 따르면 현재 270억달러 규모인 센서 시장은 10년 후인 2030년 1,310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난해 메모리반도체 시장 규모(1,630억달러)와 맞먹는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