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STX, 항공MRO 사업 추진을 위한 해외기관투자자 유치

STX(대표이사 박상준)는 13일 자회사인 STX에어로서비스의 항공기 정비수리(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이하 ”항공 MRO”) 사업 추진을 위한 영구채 102억원 유치를 공시했다. 투자처는 유럽의 Swisspartners Insurance로, 자회사인 홍콩 SP Asia Investment를 통해 투자한다. Swisspartners Insurance는 장기투자를 중심으로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는 해외기관투자자이다.

STX에어로서비스는 엔지니어링 R&D를 기반으로 한 항공 MRO 서비스 전문회사이다. 동사는 지난해 12월 말 STX의 자회사로 출범하여 2월 중순 인천국제공항 국제업무단지에 사무실을 오픈하고 지난 4월 항공정비업 등록인가를 취득한 바 있다.


STX에어로서비스의 중점사업은 착륙장치 오버홀(Overhaul, 대정비) 사업으로, 국내 항공 MRO 시장 중 미화 약 8,500만불(약 970억원)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량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분야이다. 이는 착륙장치 오버홀 사업이 특화된 기술뿐 아니라 대규모 자본 투입이 필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이다.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인천공항 보호구역 내 부지 및 정비설비, 고가의 착륙장치세트, 특수공구 등의 확보가 선제되어야 한다. STX 관계자에 따르면, “금번 STX의 해외 기관투자자 100억원 투자 유치는 STX에어로서비스의 착륙장치 오버홀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목적에 둔 자금 유치”이며, 이를 통해 “전략적인 항공 MRO 사업 진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련기사



STX에어로서비스는 또한 항공기 자산관리(Aviation AsManagement) 기술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항공기 리스사업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400여대의 항공운송사업용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나, 국내 리스 전문 업체가 없어 항공기, 엔진, APU(Auxiliary Power Unit), 착륙장치 등은 해외 리스 업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한편으로 STX에어로서비스는 제조분야와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위해 모의비행훈련장치인 FTD(Flight Training Device) 국산화 및 해외시장개척도 추진 중에 있다. 지난 4월초 국토교통부 서울지방항공청으로부터 취득한 항공정비업 등록 인가에 이어 금년 내 항공정비조직인가(AMO, Approved Maintenance Organization)를 취득한 후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