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골초가 금연하면 2.4년 더 오래 살아… 암·당뇨 앓을 확률도 크게 낮아져

보사연 보고서…“50세 이전 흡연량 줄여야, 고흡연자 대상 금연정책 효과적”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젊은 시절 담배를 많이 피운 ‘골초’가 비흡연자로 살았더라면 수명은 2.4년 연장되고 암은 물론 당뇨·심장질환·고혈압 등 만성질환에 걸릴 확률도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건강행태의 변화에 따른 질병 예측 및 질병 부담 추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흡연량의 감소는 ‘기대여명’을 늘릴 뿐 아니라 장애·질환이 없는 기대여명까지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를 이용해 2012년 당시 51세, 52세였던 국내 흡연자 중 흡연량이 상위 30%에 해당하는 대상자의 기대여명과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 질병이 없는 기대여명을 조사한 결과 각각 32.65세, 25.14세, 12.17세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64세까지는 건강하고 77세 이후로는 장애가 생기고 84세가 넘으면 사망한다는 의미다.


단 이들이 흡연하지 않았을 경우를 가정할 경우 기대여명은 35.01세로 2.36년 증가했다.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도 26.54세로 1.4년, 질병 없는 기대여명은 13.8세로 1.63년 각각 증가했다. 또 상위 30%의 흡연량을 0으로 줄인 결과, 암뿐만 아니라 당뇨, 심장질환, 폐 질환도 유병률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관련기사



반면 흡연량이 낮은 하위 30%에 대해 같은 분석을 한 결과 기대여명과 장애가 없는 기대여명, 질병 없는 기대여명은 각각 0.21년, 0.13년, 0.13년 증가하는데 그쳤다. 흡연률을 0으로 줄였을때 유병률 역시 암의 경우 유의미하게 감소했지만 그외 만성질환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보고서는 “50세 이전의 흡연량이 50세 이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50세 이전의 흡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담뱃값 인상이나 금연광고 캠페인 등이 효과를 보고 있지만, 고 흡연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