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선비들의 학당' 세계유산 인정받는다

이황 기리는 도산서원 등 9곳

유네스코 자문기구 '등재 권고'

한국 '14번째 세계유산' 확실시

1515A33 세계유산



퇴계 이황의 숨결이 남아있는 안동 도산서원을 포함한 한국의 대표 서원 9곳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실시된다.

문화재청은 “성리학 이념을 투영해 지은 조선시대 교육기관인 ‘한국의 서원(Seowon, Korea Neo-Confucian Academies)’에 대한 유네스코 자문·심사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하 이코모스)의 세계유산 목록 ‘등재 권고’를 14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로부터 통지받았다”고 이날 밝혔다.


문화재계에서는 이코모스의 ‘등재 권고’를 ‘사실상 등재’로 받아들인다. 그간 등재 권고를 받은 유산은 그간 이변이 없는 한 그대로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로 결론 났기 때문이다. 이코모스는 각국이 등재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 권고·보류·반려·등재 불가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와 당사국에 전달하는 기구다.

이번 ‘한국의 서원’의 세계유산 등재는 재도전을 통한 성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우리 정부는 지난 2016년 처음 ‘한국의 서원’을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을 했으나 이코모스가 반려(Defer) 의견을 내놓아, 등재 신청 자진 철회라는 고배를 마신 바 있다. 당시 이코모스의 심사에서는 서원 주변 경관이 문화재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됐고, 한국의 서원이 지닌 독창성과 9곳을 묶을 수 있는 연속유산으로서의 연계성에 대한 논리 보완이 요구됐다. 문화재청은 보완한 새로운 등재 신청서를 지난해 1월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약 1년 4개월 이상의 이코모스 심사 끝에 이번 등재 권고 결론에 이르렀다.


‘한국의 서원’은 9곳은 풍기군수 주세붕이 중종 38년(1543)에 ‘백운동서원’이라는 이름으로 건립한 조선의 첫 서원인 영주 소수서원을 비롯해 경주 옥산서원,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달성 도동서원, 함양 남계서원, 정읍 무성서원, 장성 필암서원, 논산 돈암서원이다. 이들은 2009년 이전에 모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다.

관련기사



서원은 지역 사회가 자체적으로 설립한 사설학교로, 주된 기능은 제사와 강학이다. 지역 풍속을 순화하고 정치적 여론을 형성하는 역할도 서원이 맡았다. 서원 건축은 앞쪽에 공부하는 강당과 기숙사를 두고 뒤쪽에 선현을 위한 사당을 모시는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를 따른다. 서원별로 배향하는 중심인물은 소수서원이 안향, 옥산서원이 이언적, 도산서원이 이황, 병산서원이 류성룡, 도동서원이 김굉필, 남계서원이 정여창, 무성서원이 최치원과 신잠, 필암서원이 김인후, 돈암서원이 김장생이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려면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10가지 기준 중 6가지가 부합해야 한다. 이 가치 중에는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이라는 조건이 있는데 ‘한국의 서원’은 건축적 특징이라기보다 한 시대의 전통을 보여주는 증거라는 점이 인정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코모스는 등재 권고와 함께 추가 이행과제로 9개 서원에 대한 통합 보존 관리방안 마련도 권고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서원’은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6월 30일 개막해 7월 10일까지 이어지는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확정되면 우리나라는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 창덕궁, 수원 화성(이상 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년), 남한산성(2014년), 백제역사유적지구(2015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년)을 포함해 세계유산 14건을 보유하게 된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