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분열의 정치 청산 청와대부터 나서라

문재인 대통령이 집권 3년차 첫 회의에서 던진 메시지는 ‘분열의 정치’ 청산이다. 문 대통령은 13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립을 부추기는 정치로는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고 역설했다. 이어 “막말과 험한 말로 국민 혐오를 부추기며 국민을 극단적으로 분열시키는 정치는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또 “분단을 정치에 이용하는 낡은 이념의 잣대는 그만 버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14일 국무회의에서 “정치가 때로는 대립하더라도 국민 삶과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것은 협력해야 한다는 게 국민의 바람”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들은 최근 장외투쟁에 나선 자유한국당을 주로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내 탓’을 인정하기보다 분열정치의 책임을 제1야당에 돌리는 ‘남 탓’을 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대신 소득주도 성장과 대북 유화정책 등 기존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마이웨이’ 의지도 표명했다.


하지만 상당수 국민은 “문재인 정부가 오히려 분열정치·이념정치를 해온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현 정부가 지속적인 적폐청산과 독선·독주정치로 편 가르기와 대립정치를 더 조장해왔다는 것이다. 또 최저임금 과속 인상과 세금을 통한 일자리 창출, 남북대화지상주의 정책 등을 펴면서도 부작용을 시정하지 않으려는 자세가 이념과 도그마 정치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요즘 정부 옹호자와 비판자 사이에 괴리감이 커진 것은 분열정치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관련기사



물론 문 대통령이 여야 정치권에 분열의 정치 타파를 주문한 것은 원론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다. 최근 ‘막말’ 논란을 일으킨 한국당은 물론이고 제1야당을 겨냥해 ‘국정농단 부역자’라고 손가락질해온 더불어민주당도 스스로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분열의 정치를 진정으로 청산하려면 국정운영을 주도하는 청와대부터 편 가르기를 자제하고 솔선수범해야 한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진정한 국민통합이 시작된 날’이라고 선언했다. 청와대는 야당을 탓하기에 앞서 통합과 협치를 위해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