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천 버스 파업 모면…3년간 임금 20%인상·정년 2년 연장키로

과거 임금 ‘최저 수준’이었지만 중위권으로…추가 예산 불가피

/연합뉴스/연합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노사가 14일 임금 인상률 등에 극적으로 합의하면서 파업 위기에서 벗어났다.

14일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 자동차노조연맹 인천노조, 인천시 등 인천 시내버스 노사정은 시청에서 시내버스 운수 종사자 복리 증진을 위한 ‘2019년 노정 임금 인상 합의서’를 체결했다. 합의서에 따르면 인천 시내버스 노사는 버스 기사 임금을 올해 8.1%, 2020년 7.7%, 2021년 4.27% 올리는 등 3년에 걸쳐 현재 수준보다 20% 이상 인상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조합원 정년도 현재 61세에서 63세로 2년 연장할 방침이다.

과거 인천 시내버스 기사들의 임금은 현재 월평균 354만 2,000원으로 다른 특별·광역시와 비교해 최저 수준이었다. 하지만 인천시는 이번 임금 인상 합의에 따라 올해 8.1%를 인상하면 382만 9,000원으로 임금이 올라 중위권 수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시는 일단 버스요금 인상 없이 인천시 버스 준공영제 예산을 늘려 임금 인상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올해 인천시 버스 준공영제 예산은 애초 계획보다 170억 원이 늘어나 1,271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인천시는 임금 인상에 따른 추가 예산이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170억 원, 1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아울러 인천시는 중장기적으로는 버스요금 인상도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 시내버스 요금은 2015년 6월 1,100원(교통카드 기준)에서 1,250원으로 인상된 후 4년 가까이 동결된 상태다.

앞서 인천 시내버스 노사는 올해 3월 임금협상을 시작해 약 3개월간 5차례 노사회의를 열었지만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 당초 사측은 올해 임금 인상률을 공무원 보수 인상 수준인 1.8%를 제시했지만 노조는 주 52시간 시행에 따른 임금 감소분 보전을 주장하며 서울시 수준인 23.8% 인상을 요구하는 등 노사 간 견해차가 커 합의가 어려웠다. 노조는 결국 지난달 29일 인천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해 지난 10일에는 1차 조정회의를 열었지만 이견만 확인한 채 마무리됐다.

협상이 계속해서 난항을 겪자 인천시는 ‘3개년 임금 인상 계획’을 제시하며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다른 특별시·광역시와 형평성을 고려할 것과 임금 감소 없는 주 52시간 근무제도의 안정적 시행을 약속했다. 이에 노조에서도 해당 방안을 수용하면서 결국 협상은 극적 타결에 이르렀다.

오흥석 인천시 교통국장은 “준공영제가 시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버스업계가 시민에게 더욱 나은 서비스와 안전운행으로 보답해 주길 바란다”며 “인천시의 재정 여건이 호전된 만큼 운수 종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