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5·18 해법' 못찾고...올해도 정쟁 덧칠

망언자 징계·특별법 개정 답보 속

황교안 대표 오늘 광주행 여야 격론

한국 "5·18 첫 인정 보수정부 때"

민주 "피해자 코스프레 속셈" 맞서

전야제엔 한국당 외 4당만 참석

민생투쟁 대장정 중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7일 세종시 한 카페에서 열린 세종맘과의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민생투쟁 대장정 중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7일 세종시 한 카페에서 열린 세종맘과의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을 하루 앞두고 정치권 안팎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17일 황교안 대표의 참석을 예고하며 “5·18을 처음으로 인정한 것은 보수정부 때”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황 대표가 5·18 망언을 한 사람의 징계 없이 광주를 찾는 것은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려는 속셈”이라고 반발 수위를 높였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한국은 2차대전 후 산업화와 민주화를 달성한 유일한 나라고 민주화의 중심에 5·18 민주화운동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김영삼 전 대통령은 지난 1993년 5·18 특별담화를 통해 ‘문민정부는 5·18의 연장선에 있는 정부’라고 밝히고 4년 만에 국립묘지를 완성했으며 5·18 특별법 제정을 결단하고 민주화운동에 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고 강조했다. 나 원내대표는 “결국 민주화운동을 최초로 인정한 것은 한국당과 한국당 출신 김 전 대통령”이라고 역설했다. 한국당 대표의 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은 2015년 김무성 당시 대표 이후 4년 만이다.

5·18 민주화운동 39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 문재인 대통령의 추모 화환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5·18 민주화운동 39주기를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 문재인 대통령의 추모 화환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비판 공세의 수위를 높였다. 설훈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나와 “한국당이 기념식 후 망언을 한 사람들을 징계한다고 하지만 지금까지의 행태를 보면 또 그냥 넘어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적절한 처리를 하지 않고 (황 대표가) 광주에 오겠다고 하면 시민들이 받아들이겠나”라고 반문하고 “(이로 인해) 물병을 던진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광주에 오는 것은 일부러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려고 오는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징계를 하지 않고 참배하는 것은 입발림”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범여권에서는 ‘신중한 대응’을 다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황 대표가 이달 3일 광주를 방문했을 때 물병 세례를 맞아 보수층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봤다는 분석이 나오자 이번에는 말려들지 않겠다는 것이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황 대표가 징계를 하지 않은 점을 비판하며 “방학숙제는 개학 후에 하겠다는 눈에 보이는 뻔뻔한 변명”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그러나 광주·전남 시도민은 성숙한 모습으로 그들의 간계에 말려들지 않을 것”이라며 “그들은 5·18의 진면목을 보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이를 두고 올해도 어김없이 광주민주화운동의 본래의 의미보다는 정쟁으로 덧칠되고 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당은 망언자 징계를 뒤로 미루며 일부 극단적 보수층의 지지를 지키면서도 물병 세례를 맞으며 추가로 지지율 상승을 노린다는 분석이 많다. 반면 민주당은 한국당의 망언자 ‘솜방망이 처벌’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며 맞불을 놓고 있다.

한편 17일 광주에서 열린 전야제에는 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등 여야4당 대표들이 참석했지만 한국당은 불참했다.
/이태규·방진혁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