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文대통령 “5·18 모욕 망언, 국민 한사람으로서 너무 부끄러워”

5·18 기념식 참석…“독재자 후예 아니라면 5·18 다르게 볼 수 없어”

“공권력이 자행한 야만적 폭력·학살에 국민 대표해 대통령으로서 사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여야 정치인들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광주=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여야 정치인들이 18일 오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광주=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5·18을 부정하고 모욕하는 망언들이 거리낌 없이 큰 목소리로 외쳐지고 있는 현실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너무 부끄럽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5·18의 진실은 보수·진보로 나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광주에 너무 큰 빚을 졌다”면서 “국민으로서 같은 시대, 같은 아픔을 겪었다면, 민주화의 열망을 함께 품고 살아왔다면 그 누구도 그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광주가 지키고자 했던 가치는 바로 ‘자유’고 ‘민주주의’였다”며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문 대통령의 발언은 자유한국당 김진태·이종명·김순례 의원의 ‘5·18 망언’에 따른 논란을 비롯해 일부 극우 성향 단체의 5·18 왜곡 행위를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어 “결코 잊을 수 없는 5월 민주 영령을 기리며 모진 세월을 살아오신 부상자와 유가족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진정한 애국이 무엇인지 삶으로 증명하고 계신 광주시민과 전남도민께 각별한 존경의 마음을 전한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이 내년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들이 많았으나 올해 기념식에 꼭 참석하고 싶었다”면서 “광주 시민께 너무 미안하고 부끄러웠고 국민께 호소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80년 5월 광주가 피 흘리고 죽어갈 때 광주와 함께하지 못한 것에 그 시대를 살았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미안하다”고도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그때 공권력이 광주에서 자행한 야만적 폭력과 학살에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해 다시 한번 깊이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담겠다고 한 약속을 지금까지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송구스럽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1980년 5월 우리는 민주주의를 외치는 광주, 철저히 고립된 광주, 외롭게 죽어가는 광주를 봤다”며 “전남도청을 사수하던 시민군의 마지막 비명소리와 함께 광주의 5월은 우리에게 깊은 부채 의식을 남겼다”고 말했다.

아울러 “5월의 광주와 함께하지 못했다는 것, 학살당하는 광주를 방치했다는 사실이 같은 시대를 살던 우리에게 지워지지 않는 아픔을 남겼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때 우리가 어디에 있었든, 5월의 광주를 일찍 알았든 늦게 알았든 광주의 아픔을 함께 겪었다”면서 “그 부채 의식과 아픔이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뿌리가 됐고 마침내 1987년 6월 항쟁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