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팔공산 구름다리 건설 속도낼까

320m 최장 다리 설치 놓고

"관광 수입·지역경제 활성화"

"경관 훼손...백지화해야" 팽팽

대구 시민회의서 '찬성' 내놨지만

"의견 수렴 안된 반쪽짜리" 지적도

설치를 놓고 논란이 되고 있는 팔공산 구름다리. /사진제공=대구시설치를 놓고 논란이 되고 있는 팔공산 구름다리. /사진제공=대구시



“최고의 명산인 ‘팔공산’을 개발해 관광객을 유치한다면 대구시의 관광수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찬성)

“산에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단기적인 관광객 유입 효과는 있지만, 재방문을 유도하지는 못한다. 관광·생태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등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반대)


대구의 상징인 팔공산에 길이 320m 규모의 국내 최장 구름다리 설치하는 것을 놓고 찬반 여론이 엇갈리고 있다.

방문객이 급감하고 있는 팔공산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쪽과 환경훼손 및 장기적 접근을 위해 반대하는 쪽이 팽팽히 맞서며 지역사회의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다.

논란이 뜨겁자 지난 16일 대구 엑스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시민 원탁회의에서는 이 문제가 의제로 올랐다. 대구시가 ‘보존인가 개발인가! 시민에게 듣는다. 팔공산 구름다리’를 주제로 시민 의견수렴을 위해 올해 첫 원탁회의를 개최한 것이다.


이날 회의장에 모인 시민들은 ‘설치 찬성’ 쪽에 손을 들어줬다. 168명이 두 차례에 걸쳐 토론을 벌인 뒤 최종 투표를 통해 60.7%의 설치 찬성(반대 31.5%, 유보 7.7%) 의견을 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날 회의가 반쪽짜리로, 의견수렴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애초 회의에는 367명의 참가자가 모집됐지만, 구름다리 건설을 반대해온 시민단체가 참석을 거부, 계획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인원만 참석했기 때문이다.

원탁회의 운영위원회는 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추진’ 의견을 담은 보고서를 대구시에 제출할 예정이다. 회의 결과가 강제력을 갖지는 않지만, 일단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한다.

팔공산 구름다리 논의는 이 사업이 지난 2015년 12월 대구관광 종합발전계획의 관광개발 선도사업으로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팔공산 케이블카 정상에서 동봉방향으로 너비 2m, 길이 320m의 구름다리 및 탐방로·전망대를 설치한다는 것이 사업내용이다. 사업기간은 오는 2020년 12월까지로, 사업비는 국비 70억원을 포함해 140억원이다.

팔공산의 수려한 경관자원을 편리하게 탐방할 수 있도록 기존 케이블카와 연계해 구름다리를 설치하면 팔공산 일원이 국내 대표적인 산악체험관광지로 떠오르리라는 것이 대구시의 판단이다. 이런 구상에 따라 지방재정투자 심사 등을 거쳐 지난 2017년 5월 구름다리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에 착수했으나 지난해 12월 시민 공감대 형성을 이유로 용역이 중단됐다. 지역의 경실련·환경운동연합·야생동물협회·녹색소비자연대 등 시민단체가 팔공산의 생태계 및 경관파괴 등을 우려하며 구름다리 설치 백지화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팔공산 구름다리가 환경영향평가 대상은 아니지만,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하고 주변 환경영향을 고려하는 사업추진을 위해 지난해 12월 환경성 검토를 검토를 진행했으며 환경영향이 미미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케이블카를 운영하고 있는 민간사업자의 투자·사회공헌 규모 등 원탁회의에서 나온 다양한 시민 의견을 반영해 사업 추진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대구=손성락기자 ssr@sedaily.com

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