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스러운 것은 반도체 등 주력업종일수록 실적 악화의 충격이 컸다는 점이다. 우리 경제를 지탱해온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이 나란히 60% 이상 급감하면서 실적 쇼크를 주도했다. 정유 4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고 철강도 부진한 시황 탓에 영업이익이 25% 넘게 쪼그라들었다. 부채비율이나 채산성 역시 덩달아 나빠지기는 마찬가지다. 주력업종이 이 지경이면 다른 업종은 말할 필요도 없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더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주력업종 전반의 업황이 좀처럼 호전될 조짐을 보이지 않는데다 내수경기마저 급격히 위축돼 2·4분기 실적 전망을 낮춰잡는 시장 분석이 줄을 잇고 있다.
주력산업의 실적 부진은 글로벌 경쟁력 약화를 반영하는 것이어서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주력산업을 대체할 신산업 육성에 가속도를 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이런데도 4차 산업혁명은 갖은 규제에 가로막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 유망 신산업과 신기술을 키운다지만 걸림돌이 많아 기업으로부터 외면받고 있고 제조업을 미래 산업으로 키운다는 청사진조차 차일피일 미뤄지는 분위기다. 게다가 정부의 반기업 정책까지 겹쳐 기업들은 신산업 진출에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경제체질을 바꾸는 작업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규제를 찔끔 풀어주는 수준에 머무를 게 아니라 전면적인 네거티브 제도로 신산업 규제 리스크를 과감히 없애는 노력이 필요하다. 신산업 육성은 규제혁파의 속도만 높이면 한결 쉬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