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WSJ "美, 중국인 고용 엄격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룸버그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룸버그



미국 정부가 자국 반도체 기업의 중국인 고용에 대한 허가를 늦추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중 무역갈등이 화웨이를 둘러싼 첨단 기술 전쟁으로 번진 가운데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을 둘러싼 미국의 경계심이 한층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기술굴기’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있는 미국이 첨단 분야에서 자국 기업의 중국 인력 고용승인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이같이 보도했다. 기업들이 첨단분야에 종사할 외국 인력을 고용하기 위해서는 미 상무부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특히 중국 인력에 대해 허가절차가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허가는 외국 인력이 미국에서 일하기 위해 받아야 하는 취업비자와는 별개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외국 인력 고용허가 지연으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곳은 인텔이나 퀄컴 등 미 반도체 기업들이다. 반도체업체들이 신규 중국 인력을 첨단 분야에 채용하거나 중국 내에서 일하던 기존 중국 인력을 미국 내로 배치하려고 하고 있지만, 허가가 지연되면서 수백개의 일자리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에는 허가 절차가 수주 만에 끝났지만, 현재는 6개월에서 8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미 상무부는 외국 인력을 첨단 분야에 고용할 경우 관련 기술의 해외 유출을 우려해 고용허가를 면밀히 심사하고 있으며 국무부나 국방부, 에너지부 등과도 공조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WSJ은 반도체 기업의 경우 미국 내에서는 이미 인력을 찾기가 어려워 필요 인력 가운데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미 기업의 첨단 분야에서 일할 수 있도록 고용허가를 받은 외국 인력 가운데 중국 인력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