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의당 "한국당, '원전 맹신' 구시대적 발상서 벗어나야"

한빛원전1호기 사고..설비결함+안전불감증

에너지 전환 정책 적극적인 검토 필요




정의당이 22일 자유한국당을 향해 “원전 맹신이라는 구시대적 발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비판했다.


정호진 정의당 대변인은 이날 한빛원전 1호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통해 “정치권에서 근거 없는 가짜뉴스로 에너지 전환 정책 발목 잡는 일은 그만둬야 한다”며 “한국당 주장과는 달리, 탈원전정책에도 불구하고 아직 원전가동률에는 변화가 없고 화력발전소 발생 미세먼지는 줄어들고 있지 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 대변인은 “원전은 아주 작은 실수와 사고가 대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자칫하면 대형사고로 번질 뻔한 한빛원전 1호기 사고원인은 설비결함이 아니라, 인간의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심각하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제어봉 조작실수로 기준치인 5%를 훌쩍 뛰어넘는 18%의 비정상적 열출력이 감지됐음에도, 직원들은 안전지침에 따라 즉시 원자로를 정지하지 않았다”며 “12시간 가까이 방치한 후에야 원자로를 세웠다. 직원들은 이 기본적인 안전 규칙을 ‘몰랐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수원의 관리감독이 얼마나 부실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더군다나 원자로 조종 면허가 없는 직원이 제어봉을 조작했다고 하니, 한수원이 안전에 대한 개념을 가지고 있긴 한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대변인은 “반복되는 원전사고에 대한 명확한 진상 파악과 동시에 에너지전환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점검해야 할 때”라며 “핵발전이 안전하다는 거짓 신화로부터 이제는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핵발전은 안전하지도 경제적이지도 않다. 원전 사고로 발생할 피해는 재앙 그 자체인데, 재앙이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두려움이 일상을 옥죄고 있다”며 “에너지전환을 위한 국가적 투자와 치밀한 계획과 실행의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