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영세기업 효자된 스마트공장 지원...고도화는 '아직'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영세할수록 생산성·품질 등 개선효과 커

조사기업 10곳 중 8곳이 1~2단계 수준

높은 수준 스마트공장 도입 '과제' 남아

스마트공장 구축수준별 경영개선 성과./사진제공=중기부스마트공장 구축수준별 경영개선 성과./사진제공=중기부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입기업 10곳 중 8곳이 1~2단계 수준 단계에서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높은 단계의 스마트공장을 들인 곳은 전체의 1% 수준에 불과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영세기업을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이뤄졌던 만큼, 향후에는 기업 규모가 비교적 큰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어떻게 지원할지가 핵심 정책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중기부가 발표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업원수와 매출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효과가 컸다. 이 조사는 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10인 미만 사업장 중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의 생산성은 39% 증가해 전체 평균인 30%보다 높은 성과를 보였다. 품질에선 44.4%, 원가절감은 17.6%, 납기부문에선 16.1%의 개선효과를 보여 전체 기업군 중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매출액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영세기업의 성과 개선이 가장 뚜렷했다.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의 생산성은 36.1% 올라 전체 평균(30%)에 비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원가는 31.2% 줄어들어 전체 집단(15.9%)보다 두 배 높은 절감효과를 보였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상대적으로 개선 여지가 많은 소규모 기업에서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스마트공장 지원이 비교적 기초적인 단계에 쏠려 있었다는 점은 향후 해결과제로 지목된다. 조사대상 기업 중 78.7%가 레벨 1~2 수준의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했다. 가장 높은 단계인 레벨 4를 지원받은 업체는 전체의 1.4%에 불과했다. 스마트공장 도입사업은 크게 레벨 1~4로 나뉘는데, 숫자가 클수록 고도화됐다는 뜻이다. 특히 레벨 4 스마트공장을 들인 기업의 품질·원가·납기는 각각 55.8%, 39.2%, 22.9%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전체 집단 중 가장 높았다. 생산성 향상 수준은 레벨 1~2단계의 기업이 31.2%로 가장 높았지만 레벨 4단계 기업도 30% 오른 성과를 보여 비슷했다.

이로 인해 스마트공장을 아예 들이지 않은 기업에 보급량을 늘리는 것보단, 스마트공장 고도화 수요가 있는 기업에 좀 더 중심축을 옮겨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기부에서도 초기 보급 작업과 고도화 작업을 ‘투트랙’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향후에는 영세기업에 스마트공장 도입을 확대하는 동시에 비교적 규모가 큰 기업의 공정고도화도 동시에 돕는 쪽으로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우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