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피아트·르노 합병 추진…세계3위 車기업 되나

中 등 주요 시장 둔화에 대응

피아트, 지분 50대 50 제안에

르노 관심 속 佛 정부도 호의적

성사땐 자동차 시장 재편 가속




이탈리아·미국계 자동차제조사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프랑스 르노자동차가 50대50 비율로 합병을 추진한다. 합병이 완료되면 세계 3위 자동차 제조사가 탄생하며 자동차 시장 재편이 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FCA는 2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르노에 합병을 제안했다며 합병사는 FCA와 르노가 지분을 50%씩 갖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번 합병은 네덜란드 소재 지주회사를 통해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FCA 주주들에게 25억유로(약 3조3,190억원)의 특별배당금을 지급한 뒤 양사가 통합법인의 새 주식 지분을 50%씩 소유하는 방식이다. 새 법인은 이탈리아 밀라노, 프랑스 파리,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될 예정이다. 합병이 성사되려면 양사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일단 르노자동차는 FCA의 합병 제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르노는 이날 오전 프랑스 파리 인근의 본사에서 이사회를 연 뒤 성명을 내고 “이사회는 FCA의 제안 조항을 면밀히 살펴본 끝에 FCA가 제안한 사업 제휴의 기회를 관심을 갖고 연구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르노의 지분 15%를 보유한 프랑스 정부 역시 이번 합병에 호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르노와 FCA의 합병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양사가 합병하면 판매량 기준 세계 3위, 시장가치 326억유로에 달하는 제조사가 탄생하게 된다. 지난해 FCA(485만대)와 르노(381만대)가 생산한 자동차는 약 870만대로 독일 폭스바겐(1,081만대), 일본 도요타(1,059만대)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르노와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을 구성하는 닛산과 미쓰비시의 생산량까지 더하면 1,500만대에 달한다.



양사의 합병 추진은 최근 중국 등 주요시장에서 경기 둔화의 여파로 고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테슬라를 중심으로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웨이모(구글 자회사), 애플 등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개발에 몰두하면서 전통 자동차 제조사들이 위기에 빠진 것도 한 이유다. FCA는 “주요 지역 시장과 기술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며 연간 50억유로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고급차부터 대중차에 이르기까지 포트폴리오 다변화도 가능할 것”이라고 합병 효과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을 구성하는 일본 닛산은 이번 합병 논의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날 사이카와 히로토 닛산차 사장은 일본 후지TV를 통해 “연합체를 강화하는 것에 대한 건설적인 의견 교환에 언제나 열려 있다”면서도 이번 합병 건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닛산이 북미시장에서 고전하는 등 사업재편·판매전략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 FCA가 르노·닛산·미쓰비시 연합과 제휴하는 시나리오는 유효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