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지하철과 도로, 다리 등이 혁신기업의 기술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실험공간)로 활용된다.
서울시는 올해를 ‘테스트베드 서울’ 구축의 원년으로 삼고 2023년까지 총 1,500억원을 투입해 1,000개 이상의 혁신기업을 지원하겠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올해는 100억원을 투입해 약 50개 기업의 기술 실증을 지원한다. 대상 기업은 시청을 비롯해 지하철, 도로, 한강 다리, 시립병원, 지하상가 등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과 사업소가 관리하는 각종 시설이다. 최대 1년 간 시제품과 서비스의 성능과 효과를 시험할 수 있다. 다만 서울 시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여야 한다.
테스트베드 지원 방식은 서울시로부터 사업비까지 지원받는 ‘연구개발(R&D) 지원형’과 실증 장소만 제공받는 ‘기회제공형’으로 나뉜다.
R&D지원형은 서울 소재 중소·벤처기업이 개발한 상용화 직전의 시제품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다. R&D지원형 대상 기업에 선정되면 서울시로부터 실증사업비로 최대 5억원을 지원받는다. 기회제공형은 서울 소재 대기업과 중소기업도 신청할 수 있으나 실증비용은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
테스트베드 이용 신청은 다음 달 1일 문을 여는 온라인 플랫폼 ‘신기술 접수소’ 누리집에서 할 수 있다. 신청이 접수되면 전문 평가위원회가 심사를 거쳐 8주 이내에 실증 가능 여부를 알려준다.
서울시는 성능과 안전성이 검증된 제품에는 성능확인서를 발급할 계획이다. 또 공공구매 촉진을 위해 혁신제품·서비스 수의계약 한도액을 현재 1,500만원에서 법정 최고액인 2,000만원까지 올리고 내년부터 전 기관·부서별로 ‘혁신제품 구매목표제’를 도입한다. 서울시는 혁신기업 성장 지원을 위해 매달 ‘스타트업 피칭데이’를 열고 9월에는 테스트베드 박람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 테스트베드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테스트베드 사업단’을 서울산업진흥원에 만들어 7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조인동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서울의 모든 공공 인프라를 혁신기술의 테스트베드로 개방할 것”이라며 “다른 기관과 공공단체로 확산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포럼도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