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사칭’ 중국 거점 보이스피싱 조직 일망타진

46명 검거, 미검자 남아 인터폴 공조요청

지급 정지 어려운 가상계좌 특성 이용해

1년간 74명에게 74회 걸쳐 13억원 갈취

보이스피싱 범행 흐름도/서울강북경찰서보이스피싱 범행 흐름도/서울강북경찰서



경찰이 중국 현지에서 활동해 검거가 어려웠던 보이스피싱 범죄조직 일당을 대거 잡아들였다.

서울 강북경찰서(총경 엄기영)는 중국 청황대 일대를 거점으로 삼아 온 ‘홍주파’ 등 보이스피싱 범죄단체 소속 46명을 범죄단체 가입 활동 및 사기 혐의로 검거하고 이중 12명을 구속해 수사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경찰은 중국 동포 총책 등 미검자 13명에 대한 원활한 검거를 위해 인터폴에 공조를 요청한 상태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검찰을 사칭, 피해자를 기망해 금품 등을 편취하고 이 과정에서 불법 가상계좌 등을 개설한 혐의를 받는다.

관련기사



이들 조직의 최초 범행은 지난해 3월 20일 피해자 A씨를 대상으로 일어났다. 이들은 A씨에게 전화를 걸어 구체적인 소속과 이름을 대 검사를 사칭한 뒤 “계좌가 금융범죄에 연루되었다”며 “현금을 인출해 금감원 직원에게 건네주라”고 말해 이날 오후 2시께 서울 강서구 소재 한 카페 앞에서 A씨로부터 500만원을 갈취했다. 이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이후 약 1년 동안 총 74회에 걸쳐 피해자 74명으로부터 총 13억3,500만원을 뜯어냈다고 경찰은 밝혔다. 개인 최대 피해액은 1억2,000여만원에 이른다.

경찰은 도망 나온 과거 조직원으로부터 첩보를 받고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이들 첩보 제공자들의 출입국 동승자들을 파악해 다른 조직원의 신원을 파악하는 등 수사망을 넓혀나갔다. 전현직 조직원 등을 조사하고 설득한 끝에 조직 일부를 검거했다. 경찰은 이들의 범행이 기존 보이스피싱 수법에서 한 단계 진화된 형태라고 전했다. 기존 보이스피싱 범죄에는 주로 타인 명의의 대포계좌를 통해 수금한 돈을 중국으로 다시 송금하는 수법이 이용돼왔다. 이와 달리 피의자들은 추적과 피해 회복이 어려운 가상계좌를 이용했다. 가상계좌란 은행에 법인 명의로 만든 계좌 아래 개설되는 계좌다. 피의자들은 은행은 이런 계좌에 대한 지급정지 명령을 내리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했다.

경찰은 이번 검거를 통해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 전 과정을 규명해 관련 범죄 활동을 크게 위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이 진화하면서 피해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 앞으로도 강력한 단속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범죄 수법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홍보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