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이사람] 성경교사·학생으로 첫 인연..."초라했던 나를 택한 아내에 깊은 고마움"

■이재서 총장 부부, 운명적 사랑서 결혼까지

전남대 선교단 설립 위해 광주 갔다가

어엿한 대학생 된 아내 다시 만나 연애

中교사 포기하고 美유학 함께 떠나 내조

이재서(왼쪽) 총신대 총장의 아내인 한점숙씨가 남편을 사랑 가득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이재서(왼쪽) 총신대 총장의 아내인 한점숙씨가 남편을 사랑 가득한 눈길로 바라보고 있다.



이재서(66·사진) 총신대 총장의 기막힌 인생 드라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아내 한점숙(60)씨다. 이 총장이 앞이 보이지 않는 탓에 한씨는 늘 곁에서 남편을 ‘보좌’한다. 가로막힌 벽이 있으면 부딪히지 않도록, 문턱이 있으면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팔짱을 끼고 인도한다. 문자 그대로 ‘동반자’이자 ‘반려자’인 셈이다.


두 사람은 이웃 동네에서 함께 자랐지만 나이 차가 많았던 탓에 이 총장이 실명하기 전까지 만난 적은 없었다. 그랬던 두 사람이 평생의 인연을 맺을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준 곳이 전남 순천의 한 시골 교회였다. 서울맹학교를 졸업하고 총신대에 입학하기 전 지난 1975~1976년 순천성경학교에서 공부할 당시 이 총장은 지인의 권유로 주말마다 동네 교회에서 중·고등부 성경 교사로 일했다.

관련기사



이때 이 총장이 가르친 학생 가운데 순천여고 1학년에 재학 중이던 한씨가 있었다. 선생님과 학생으로 좋은 인상만 품었던 두 사람의 인연은 이것으로 끝이 아니었다. 1979년 한국밀알선교단을 창립한 이 총장이 전남대 지부 설립을 위해 광주를 찾았을 때 어엿한 대학생으로 성장한 한씨를 다시 만나게 됐다. 종교에 대한 생각을 나누면서 서로 비슷한 점이 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된 두 사람은 본격적인 연애를 시작했다.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만남에 대해 주변의 우려도 있었고 가족의 반대도 있었으나 둘의 끈끈한 사랑을 꺾지는 못했다.

전남대 문리대를 졸업하고 중학교 수학 교사로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한씨는 1983년 이 총장과 결혼한 후 이듬해 남편과 함께 미국으로 떠나면서 ‘내조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 총장은 “당시에 아내가 훗날 남편이 교수가 되고 대학 총장이 될 줄 어찌 알았겠느냐”며 “미래가 불투명하고 초라하기만 하던 사람을 남편으로 택한 것 자체가 대단한 결단”이라고 고마워했다. 옆에서 수줍은 표정으로 인터뷰를 가만히 지켜보던 한씨는 “그저 시골교회에서 처음 봤을 때부터 믿음직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었다”며 “평생의 배우자감을 선택하는 데 ‘사랑’ 이외에 특별한 이유가 있겠느냐”고 쑥스러워했다. 사진=성형주기자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