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재건축 호가 상승에...낙폭 줄어든 서울 집값

이번주 0.02%↓ 30주연속 하락

마포구 하락세 멈추고 보합 전환




서울 아파트값의 약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낙폭은 확연히 둔화됐다. 앞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할지에 대해서는 시장의 전망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7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주간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2% 떨어졌다. 지난해 9·13대책 이후 30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진 가운데 낙폭은 지난주(-0.03%)보다 둔화했다. 특히 최근 재건축 중심의 급매물 소진으로 일부 단지의 호가가 상승하면서 9·13대책의 효과가 본격화하기 시작한 지난해 11월19일(-0.02%) 조사 이후 28주 만에 최저 낙폭을 기록했다.


구별로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의 강세로 강남구가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한 반면 서초구는 지난주 -0.01%에서 이번주 -0.03%로 낙폭이 다소 커졌다.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늘고 있는 강동구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8% 하락했다.

관련기사



강북 지역에서도 하락세를 멈춘 지역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마포구가 최근 4주 연속 이어지던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 전환했고, 은평·서대문·구로구 등지도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 전용면적 84㎡는 13억∼14억원에 호가가 형성돼 있다. 양천구도 목동 신시가지 등 일부 단지의 급매물이 팔리면서 하락세를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분당과 광명 등을 중심으로 급매가 소진되면서 지난주 -0.09%에서 이번주 -0.06%로 하락폭이 줄었다. 3기 신도시 후폭풍이 있었던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각각 0.14%, 0.15% 하락했고 파주시도 0.09% 내리며 하락세가 이어졌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대출 규제가 워낙 강하기 때문에 추격 매수세가 잠잠한 상태이고, 매물도 많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며 “하반기의 서울 집값은 급락도, 급등도 아닌 보합국면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