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스마트폰 5,000만 시대…지난해 8월서 올 4월로 늦춰진 까닭

스마트워치와 태블릿PC 웨어러블과 태블릿PC로 분류

통계의 명확성·정확성 위해 세부 기준 일원화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이동통신사들이 스마트워치와 태블릿PC를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제외하며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하루아침에 130여만 명 급격히 감소했다.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말 조사 결과 스마트폰과 피처폰 가입자 수는 각각 4,999만9,803명과 608만5,828명을 기록했다. 과기정통부가 지난달 초 공개했던 3월말 가입자 수보다 각각 130만8,599명과 7만7,792명 줄어든 결과다. 지난해 말 스마트폰과 피처폰 가입자 수도 이달 초 공개한 통계보다 각각 132만3,413명과 8만8,295명 줄어든 4,944만1,647명과 622만8,978명으로 집계됐다.


스마트폰과 피처폰 가입자 수가 급감한 이유는 최근 통신사들이 통계에서 휴대전화 단말기 기준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통신사들은 통화가 가능한 스마트워치와 태블릿PC를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제외하고 각각 웨어러블과 태블릿PC에 포함했다. 또한 모바일 라우터(네트워크 중계장치·동글)를 기타로 별도 분류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가입자가 5,000만명을 돌파한 시기도 지난해 8월에서 5,010만3,213명으로 집계된 올해 4월로 변경됐다.

관련기사



정부는 통계의 명확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세부 기준을 일원화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130만명이나 급감한 현상은 통계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비판적 의견도 잇따른다. 그뿐만 아니라 과기정통부는 통계 수정 후 상세한 설명을 첨부하지도 않았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화 가능한 스마트워치와 태블릿PC가 전화보다 주로 사물인터넷(IoT) 기기 대신 사용되는 점과 요금제 차이 등을 고려해 4월 초 5G 상용화를 계기로 분류를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통화 대신 데이터만 사용하는 휴대전화도 스마트폰이나 피처폰 대신 IoT에 포함해야 할지 의문”이라고 전했다. 이에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회선이 부여된 스마트워치를 스마트폰 대신 웨어러블에 포함하는 것이 맞겠다는 통신사 등의 의견을 수렴해 작년 3월 이후 통계를 수정했다”며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등 일부 수치가 변경됐지만 전체 무선 통신서비스 회선 통계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김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