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인 70% "동네의원 진료 불만족"…'신뢰 부족' 이유로 꼽아

2명 중 1명은 '자기 판단'으로 동네의원→대형병원 이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1차 의료기관인 의원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의원의 의료서비스 질도 떨어진다는 인식이 컸다. /연합뉴스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1차 의료기관인 의원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고 의원의 의료서비스 질도 떨어진다는 인식이 컸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동네의원의 의료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미래 보건의료 정책 수요 분석 및 정책 반영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만 19∼69세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치료 효과와 접근성 등 동네의원의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보통’이라는 응답이 56.8%, ‘불만족’ 응답이 12.2%였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31.1%에 그쳤다. 만족스럽지 않은 이유로는 △치료 효과가 좋지 않아서(26.6%), △질병 진단을 신뢰할 수 없어서(25.8%),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에 대한 신뢰가 낮아서(20.1%) 등이었다. 대형병원 진료를 받은 2명 중 1명은 의사가 아닌 본인 판단에 따라 동네의원을 거쳐 대형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4명 중 1명가량인 24.7%는 동네 의원 이용 후 1개월 이내에 동일 질환으로 대학병원, 상급 종합병원 등 대형병원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 질환으로 대형병원에 간 이유로는 ‘보다 전문적인 검사·치료를 위해 동네의원에서 대형병원으로 의뢰’가 47.4%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보다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 본인이 선택 또는 진료의뢰서 요청(29.0%), △상급 종합병원 이용을 위해 동네의원에서 진료의뢰서만 발급(12.6%), △최신 의료장비와 의료시설이 더 좋아서(6.5%),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대형병원 진료비 부담이 낮아져서(2.8%) 순이었다. 즉, 응답자의 8명 중 1명은 동네의원을 진료의뢰서 발급 통로로 활용했고, 2명 중 1명은 의사가 아니라 본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대형병원으로 간 셈이다.

관련기사



동네의원을 이용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는 ‘신뢰할만한 경력이 있는 의사나 전문의가 진료하는 것(39.1%)’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건강상태에 대해 충분한 진료나 상담을 해주는 것(22.9%), △지속적 진료를 통해 나의 건강상태를 잘 아는 주치의가 있는 것(19.8%), △대형병원과의 협진 체계가 잘되어 있는 것(10.8%) 순이었다.

동네의원 의사를 사전에 선택해 ‘주치의’로 지정하고 대형병원을 이용하려면 주치의에게 먼저 진료를 받고 진료의뢰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불편할 것이다’는 응답이 57.6%로 가장 많았다. ‘좋을 것이다’라는 응답은 17.9%에 그쳤다.

/황민아 인턴기자 nomad@sedaily.com

황민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