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불리한 정보 막아라”…中, 네이버 등 인터넷 마구잡이로 차단

중국에서 네이버 기사보기를 시도할 경우 이런 표시가 뜬다. /네이버 캡처중국에서 네이버 기사보기를 시도할 경우 이런 표시가 뜬다. /네이버 캡처



중국이 미중 무역전쟁과 톈안먼사태 30주년을 맞아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면서 인터넷 포털 다음에 이어 최근 네이버도 사실상 접속이 차단됐다.

11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베이징 등 중국에서 이달들어 네이버의 접속이 대부분 차단됐다. 홈페이지가 열리고 기사검색도 되지만 해당 기사를 클릭하면 ‘이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다’며 연결이 되지 않는다.


IT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에 최근 중국에 불리한 기사와 글들이 많이 올라온다는 이유로 중국 당국이 기사보기를 차단하는 것으로로 알고 있다”면서 “톈안먼사태 등 민감한 상황이지만 이미 시기(6월4일)가 지난 상황에서도 계속되는 이유는 확인이 안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에서는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의 접속이 차단된 상태다. 올들어 1월에는 인터넷 포털 다음 사이트도 접속이 아예 차단돼 있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하려면 VPN(인터넷 우회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지만, VPN 또한 최근 중국 당국이 강력 단속에 나서 접속이 잘 안 되는 상황이다. 우리 정부가 이미 한국 사이트 차단에 대해 중국 측의 설명과 시정을 요구하고 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당국은 워싱턴포스트 등 서구권 및 홍콩, 대만 언론, 구글·유튜브·페이스북 등 해외 소셜미디어( SNS)를 차단하며 중국 공산당 독재를 유지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최근 자사의 웹사이트에 대한 중국 내 접속이 차단됐다면서 이는 중국 당국의 외신 웹사이트 단속으로 인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