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네이버 접속차단 또 한국 길들이기?

톈안먼 30돌 맞물려...中 불리한 정보 유통에 불만

韓 미중대응 조직 주내 출범

중국이 미중 무역전쟁과 톈안먼사태 30주년을 맞아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중국에서 한국의 포털 다음에 이어 네이버의 접속도 사실상 차단됐다. 한국 사이트에 올라온 중국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중국 내에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미중 무역전쟁의 틈바구니에 끼어 있는 한국에 대한 압박용 조치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11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베이징 등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네이버 접속이 지난달 30일부터 사실상 막혔다. 앞서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를 막은 데 이어 차단 대상이 이 사이트 전체로 확대된 것이다. 현지에서 접속할 경우 메인 화면은 열리지만 뉴스를 클릭하면 ‘이 페이지에 연결할 수 없음’이라는 문구만 뜬다. 뉴스 외에 쇼핑과 날씨·연예·부동산·지식백과 등도 대부분 연결되지 않고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중국은 내부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수시로 접속을 차단하지만 어떤 조치를 취할 방법이 없다”며 “정부가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10월부터 네이버 카페·블로그의 접속이 차단돼왔으며 올해 들어 1월부터는 인터넷 포털 다음 사이트의 접속도 안 되고 있다.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하려면 인터넷우회접속(VPN)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 또한 최근 중국 당국이 강력 단속에 나서고 있어 VPN을 켜도 접속이 잘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현지에서는 한국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중국 내 정치현안 등 민감한 내용이 퍼진 것이 중국 당국을 자극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다. 인터넷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네이버를 통해 불리한 정보가 유통된다는 중국 측의 불만이 제기된 후 차단이 시작됐다”면서 “특히 톈안먼사태 30주년 등 여러모로 민감한 상황이어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국 사이트 차단에 대한 중국 측의 설명과 시정을 요구하고 있지만 별다른 진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의 인터넷 차단은 한국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중국은 이미 뉴욕타임스(NYT) 등 서구권과 홍콩·대만 언론을 비롯해 구글·유튜브·페이스북 등을 차단한 상태다. 중국 공산당의 일당독재체제에 조금이라도 불리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모두 차단 대상이다. 지난 10일자로 중국 금융뉴스 웹사이트 화얼제젠원이 당분간 폐쇄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사이트는 중국 경제상황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한 보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 인터넷 사이트를 겨냥한 이번 조치가 미중 갈등 와중에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을 압박하려는 노림수라는 해석도 제기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이르면 이번주 중 미중 갈등에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조직을 외교부에 설치할 예정이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중관계 전담조직 신설 추진 계획’과 관련해 “여러 부서에 걸친 전략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해 긴급 대응지원 조직을 구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팀장 인선 등을 거쳐 이르면 이번주 내에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와 총리실 등에 따르면 신설조직은 지난달 30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미중관계의 전개는 무역분쟁이나 화웨이 문제를 뛰어넘는 광범한 영향을 우리에게 줄 것”이라며 외교부에 전담조직 신설을 주문한 후 빠르게 구성됐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정영현·백주원기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