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아르헨티나·우루과이 전역서 정전사태…“4,800만명 불편”

정전 이유 놓고 의견 분분...사이버 공격, 전력망 노후 등 거론

16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차들이 깜깜한 도로를 달리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AP연합뉴스16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차들이 깜깜한 도로를 달리고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AP연합뉴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전역에서 16일(현지시간) 오전 양국 간 상호배전시스템에 고장이 나는 바람에 대규모 정전이 발생해 약 4,800만명이 불편을 겪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이날 오후 들어 아르헨티나 절반가량의 지역에 전력 공급이 재개됐으며, 우루과이는 대부분 지역이 복구됐다.


앞서 아르헨티나 전력부는 이날 오전 7시께 핵심 전력 상호접속 시스템이 고장 나면서 정전이 발생했다며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르헨티나의 전력공급업체인 에데수르(Edesur)도 정전 직후 트위터를 통해 “전력 상호접속시스템 고장으로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전역에 전기공급이 끊겼다”고 밝혔다.

우루과이의 국영전력회사인 UTE는 아르헨티나 배전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전력이 끊겼다며 정전 원인을 아르헨티나 탓으로 돌렸다.


아르헨티나에는 4,420만명, 우루과이에는 340만명이 각각 살고 있다. 양국은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북쪽으로 450㎞ 떨어진 곳에 있는 살토 그란데 댐의 수력발전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아르헨티나의 전력망은 수년간 전력 요금이 거의 동결된 가운데 변전소와 전력선이 불충분하게 개보수되는 등 전반적으로 정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처럼 양국 전역에 걸친 대규모 정전 사태는 최근 들어 전례 없는 일이라고 AFP통신은 전했다.

정전 원인을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현재 정확한 대정전 원인을 조사중이지만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에너지 규제행위 연구 센터는 이번 대규모 정전 사태는 앞서 겪어보지 못한 일이라며 설계 오류 가능성을 지목했다.

아르헨티나의 노후한 전력망도 잠재적인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된다.

아르헨티나의 전력망은 수년간 전력 요금이 거의 동결된 가운데 변전소와 전력선이 불충분하게 개보수되는 등 전반적으로 정비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이번 대정전은 파라과이, 브라질, 칠레 등 인접 국가 일부 지역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브라질과 칠레는 정전 피해가 없었다고 밝혔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