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저축률 높여 내집 마련 앞당길 수 있고 은퇴후 '연금 맞벌이'도 가능

[행복한 100세 시대]

맞벌이의 4가지 경제적 효과

하철규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수석연구원




우리나라 가구의 거의 절반(44.6%)이 맞벌이를 하고 있다. 통계청의 <2018 일·가정 양립 지표>에 의하면 6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의 맞벌이 비율(41.6%)이 가장 낮고, 초등학생 연령(7~12세)의 자녀를 둔 가구의 맞벌이 비율은 절반(51.3%)을 넘고, 사교육비가 많이 드는 중·고등학생(13~17세) 자녀를 둔 가구의 맞벌이 비율은 10가구 중 6가구(58.1%)로 높아진다. 그런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아내의 취업에 대해서 찬성하는 남편의 비율’이 20대가 10명 중 7명(72.1%)을 넘어 가장 높았다. 청년층 취업난, 고용 불안, 치솟는 집값 등의 경제적인 압박 때문에 20대의 맞벌이 선호 비율이 높아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동안 결혼자금, 주택자금, 자녀교육비, 노후생활비 등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하다. 듀오웨드의 <2019 결혼비용 보고서>에 의하면 신혼부부 한 쌍이 지출한 결혼자금은 평균 2억 3,186만원으로, 결혼비용의 73.5%(1억 7,053만원)는 신혼 집 마련 비용이다. 이렇게 신혼초기 주거비 부담이 청년의 근로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서 청년들이 결혼을 미루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신혼주거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는 경우가 절반(50.2%)을 넘어서고 있고, 주택대출 상환은 결혼 이후에도 계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하여 신혼부부들의 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하면 자녀 양육비는 자녀수가 1명인 가구의 경우 월평균 73만원, 2명인 가구는 137만원, 3명인 가구는 162만원으로 자녀수가 많을수록 총 양육비는 증가한다. 여전히 우리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는데 많은 비용 부담이 발생하고, 여성이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도 어려움이 따른다. 맞벌이의 최대 위기는 출산과 육아의 시기에 다가오는데, 자녀들의 성공적인 맞벌이를 돕기 위해 황혼육아에 뛰어드는 부모들이 많은 것은 그만큼 맞벌이의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금수저가 아닌 월급쟁이는 돈이 필요한 시기를 고려해 돈을 꾸준히 모아야 한다. 대개 돈을 집중적으로 모을 수 있는 시기는 직장생활을 시작해서부터 10년 정도이다. 이 시기에는 절대소득은 낮지만 가처분 소득이 가장 높아 가장 많은 저축을 할 수 있다. 가구주 연령대별 월평균 소비지출은 40대(319만원)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50대(290만원), 39세 이하(245만원), 60세 이상(186만원)의 순이다. 40대는 사교육비 부담으로 생활비가 큰 폭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지출이 적은 20~30대가 저축의 골든 타임이다. 돈 버는 기간은 대략 30년인데, 외벌이 가구는 자녀 교육비를 부담하고 나면 노후준비를 미룰 가능성이 높다. 100세시대에는 맞벌이를 해서 가계의 소득과 저축률을 높여야 한다.

관련기사



맞벌이의 경제적 효과는 첫째, 맞벌이를 하면 가구소득이 증가한다. 통계청의 <2017년 신혼부부 통계>에 의하면 맞벌이 부부의 평균소득(7,199만원)은 외벌이 부부(4,155만원)의 1.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연령대별 평균소득은 50대(7,292만원)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40대(7,107만원), 30대(5,756만원) 순이다. 20~30대 가구는 40~50대 가구보다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맞벌이를 하는 신혼부부의 소득(7,199만원)은 40대 가구 평균소득(7,107만원)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는 연령대별 소득수준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가계 소득증대 방안이다.

둘째, 맞벌이를 하면 저축률을 높일 수 있다. 소득이 높은 맞벌이 부부들은 외벌이보다 훨씬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하고, 외식도 자주 하기 때문에 맞벌이로 인한 소득증가가 저축이나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고 맞벌이 효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많다. 맞벌이 부부는 언젠가는 배우자의 소득이 중단되는 외벌이가 될 상황에 대비하여 한 사람의 소득은 저축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맞벌이를 하면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신혼부부(결혼 5년 이내)의 주거현황은 자가(48%), 전세(32.9%), 월세(15.3%)의 순이다. 내 집마련은 부부의 가장 큰 숙원인데, 생애 처음으로 내 집을 마련하는데 평균 7.1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는 결혼 후 10년 내에 내 집 마련을 목표로 해야 하는데, 맞벌이를 하며 자녀가 학교에 진학하기 전까지 10년간 집중적으로 돈을 모으면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넷째, 맞벌이를 하면 은퇴 후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아 연금 맞벌이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현재 20~30대는 100세까지 장수하는 것을 전제로 노후준비를 해야 하며, 오래 살수록 더 많은 노후생활비가 필요하다. 부부가 모두 3층 연금(국민 · 퇴직 · 개인연금)으로 노후준비를 하면, 은퇴 후 부부가 모두 연금을 받으며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누릴 수 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