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이노베이션, 장애인 일자리 창출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문열어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행복키움’이 운영하는 ‘카페 행복’에서 장애인 근로자들이 바리스타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행복키움’이 운영하는 ‘카페 행복’에서 장애인 근로자들이 바리스타 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096770)이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설립해 장애인 일자리를 창출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1일 대전 유성구에 자리한 기술혁신연구원에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행복키움’과 ‘행복디딤’ 개소식을 가졌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박태복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지역본부 본부장 등 행복키움과 행복디딤 소속 장애인 근로자 및 가족 60여명이 참석했다. 행복키움은 SK이노베이션 기술혁신연구원 내에서 카페 두 곳을, 행복디딤은 세차장을 각각 운영한다.

관련기사



SK 측은 지난해 11월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며 이후 SK이노베이션이 행복키움을, SK에너지가 행복디딤을 지난 1월 각각 설립했다. 이들 사업장에는 두 달여간의 교육을 받은 중증장애인 21명과 경증장애인 4명이 근무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향후 울산 등 SK 사업장이 위치한 지역으로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을 확대 운영하고 장애인 고용인원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SK그룹의 장애인 일자리 창출 노력과 관련해 최태원 SK 회장의 의중이 십분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는다. 최 회장은 지난달 사회적 가치 창출 행사인 SOVAC에서 SK의 장애인 의무 고용률이 낮다는 참석자의 지적과 관련해 “(그 같은 지적은) 맞는 말씀이며 무조건 이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상호 SK이노베이션 인재개발실장은 “적극적인 장애인 일자리 창출, 고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향후 장애인 고용인원을 더욱 확대하고 이들이 안전하고 편하게 일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