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양조장 짓고 브루펍 열고...수제맥주 "酒도권 잡자"

내년부터 稅부담 줄어 투자 숨통

플래티넘크래프트·카브루 등

국내서 수입맥주와 전면전 준비

수제맥주업계의 오랜 숙원과제였던 종량세 도입이 현실화되면서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관련 업체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맥주를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브루펍’ 오픈에서부터 해외공장의 국내 이전에 이르기까지 국내시장에서 수입맥주와의 한판 경쟁을 준비하고 나섰다.

23일 수제맥주업계에 따르면 국내 1세대 수제맥주업체인 ‘플래티넘크래프트’는 중국 옌타이에 위치한 양조장을 내년까지 국내로 이전한다. 이곳은 플래티넘크래프트가 100% 지분을 가진 제2공장이다. 옌타이 공장이 국내로 들어오면 국내외로 흩어져있던 양조 전문가를 한곳에 모아 공장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조장이 세워지면 연간 최대 250만 리터의 맥주가 국내에서 생산된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공장에서 생산되는 맥주의 이윤이 훨씬 높았지만 종량세 전환으로 인해 어느 정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 되면서 이전 결정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플래티넘크래프트 맥주 6종/사진제공=플래티넘크래프트플래티넘크래프트 맥주 6종/사진제공=플래티넘크래프트



알코올도수 또는 양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종량세 도입의 가장 큰 수혜자는 수제맥주업계다. 종량세로 개편되면 캔맥주의 세 부담이 리터당 415원 줄게 되면서 수제맥주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플래티넘크래프트는 다음 달 중 편의점 판매용 캔맥주를 출시한다.


종량세 전환으로 수제맥주업계가 활력을 얻으면서 투자업계의 러브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일에는 ‘경복궁’으로 유명한 수제맥주업체 ‘카브루’가 코오롱인베스트먼트로부터 30억원을 투자받았다. 이 같은 투자를 바탕으로 카브루는 내년 하반기까지 병·캔맥주를 생산하는 대형 양조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박정진 카브루 대표는 “종량세 도입으로 국내 맥주 시장이 완전 경쟁 체제로 진입하면서 브랜드와 제품력을 바탕으로 누가 시장을 선점하느냐의 싸움이 될 것”이라며 “규모의 경제로 원가를 낮춰 편의점, 할인점 등 소매시장에 본격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핸드앤몰트 탭룸 2호점/사진제공=핸드앤몰트핸드앤몰트 탭룸 2호점/사진제공=핸드앤몰트


소비자와 만날 수 있는 접점도 늘리고 있다. 오비맥주가 인수한 수제맥주 브랜드 ‘핸드앤몰트’는 이달 말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인근에 탭룸 2호점을 공식 오픈할 예정이다. 신규 매장은 혼자 맥주를 즐길 수 있는 1인실을 마련해 다양한 소비자들의 취향을 반영했다. 가평에 양조장을 둔 카브루도 서울에 깃발을 꼽기 위해 오는 9월 청담동 브루펍을 연다.

치열한 각자도생이 펼쳐지고 있지만 수제맥주 브랜드끼리 힘을 모으기도 한다. 40여개 국내 수제맥주 브랜드를 회원사로 둔 한국수제맥주협회는 용산구와 손잡고 10월께 수제맥주 페스티벌을 연다. 또 회원사와 릴레이 형식으로 진행되는 협회 맥주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핸드앤몰트에서 생산한 ‘깻잎 한잔’과 플레이그라운드의 ‘헤이헤이헤이’에 이어 수제맥주 업체 중 한 곳이 국내산 원료를 사용해 협회 공동의 맥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