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대표 공공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은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술을 적용한 공공하수처리시설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환경공단은 최근 ‘공공 하수처리시설 지능화 시스템 구축사업(이하 공공 하수처리시설 지능화 사업)’에 착수했다. 공공 하수처리시설 지능화 사업은 하수처리시설에 IoT와 빅데이터·AI 등 지능화 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물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추진한 ‘2019년 국가인프라 지능 정보화 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된 과제다. 총 사업비는 27억원 규모다. 한국환경공단에서 운영 중인 안동·임하댐 상류 봉화공공하수처리시설(3,000톤/일), 춘양공공하수처리시설(800톤/일)에 내년 12월 말까지 지능화 기술을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공공 하수처리시설은 그동안 수질 관리 및 시설물 유지 보수 과정에서 육안 점검과 운영자 경험에 의존하는 운영관리 방식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이는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고 시설의 적절한 유지보수 시기도 파악하기 어려웠다. 또한 시설 노후화로 고장 원인을 확인하기가 어려운데다 고장 설비의 수리 완료시까지 예비 설비 사용으로 전력과 약품 비용이 발생하는 등 하수처리비용이 꾸준히 증가해왔다. 실제 지난 2014년 톤당 186원이었던 하수처리비용은 2017년 203원까지 상승했다.
지능화 기술을 적용하면 유지보수 사전 예측을 통해 에너지 절감과 시설의 기능연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대상시설의 에너지 절감률은 올해 5%에서 2021년 10%로 급등한다는 게 공단 측의 설명이다.
이번 사업은 환경공단이 주관 기관으로 분야별 강점을 가진 연구기관(금오공과대학교), 민간기업(㈜와이뎁·동문이엔티㈜)과의 협업으로 진행한다. 장준영 환경공단 이사장은 “지능화 기술 도입을 통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과학적이고 선진화된 환경시설 운영 기준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다른 환경 분야에도 지능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