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인실 7만원→1만8,000원…7월부터 병원 2·3인실 입원료 확 준다(종합)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오는 7월부터 병원과 한방병원의 2·3인실 입원실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환자 본인 부담이 3분의 1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26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후속 조치로 다음달부터 전국 1,775개 병원·한방병원의 2·3인 입원실 1만7,45개 병상에 건강보험을 적용한다고 전했다.


상급종합·종합병원 2·3인실은 지난해 7월 건강보험이 적용됐지만 병원 2·3인실은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은 탓에 병원별로 기본입원료가 차이가 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하루 입원 시 환자가 평균적으로 지불하는 금액은 2인실 7만원(최고 25만원), 3인실 4만7,000원(최고 20만원)이었다. 일부 입원실은 건강보험이 적용된 종합병원의 평균 입원료 7만원보다 더 높은 곳도 있었다.

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7월부터는 입원료가 2인실 2만8,000원에서 3인실은 1만8,000원으로 낮아진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병원 2·3인 입원실 건강보험 혜택을 볼 환자는 연간 약 38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의료행위·치료재료 125개에도 7월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세부적으로 △장기이식 전 면역거부 반응검사 등 응급검사 분야 7개 △심장질환자 심박출량 확인·점검(모니터링), 마취환자의 체온 감시 등 검사·모니터링 분야 18개 △기도 절개 및 기관 삽입튜브, 후두마스크 등 수술·처치 분야 항목 100개가 건강보험에 편입된다.



뿐만 아니라 환자 개인별로는 기존에 환자가 전액 부담하던 검사비와 소모품비용이 2분의 1에서 4분의 1 이하로 감소한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심장질환자의 심장 박출량 등 심장 기능 모니터링은 기존에 비급여로 6만4,000원 가까이 환자가 부담해야 했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2만6,000원(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또한 독감(인플루엔자 A·B) 간이검사도 기존에 비급여로 평균 3만1,000원의 검사비를 부담하던 것이 보험확대로 1만원(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내려간다.

호흡이 곤란한 응급환자의 신속한 기도 확보를 위한 후두 마스크도 비급여로 부담하던 평균 3만9,000원 비용이 1만8,000원(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낮아진다.

급성심정지 환자에게 체온 조절을 통해 뇌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는 체온 조절 재료는 비급여로 220만원의 비용을 내야했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42만원(상급종합병원 기준)만 부담하면 된다.

복지부는 4대 중증질환자 이외에 응급도중증도에 따른 감별진단과 치료 결정을 위해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에서 실시하는 응급·중환자 초음파에도 보험적용을 확대해 환자부담을 기존 평균 5만∼15만원에서 1만2,000원∼6만원(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