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스포츠 문화

박명성 신시컴퍼니 대표 "관객들이 해답 찾아가는 작품 만드는 게 예술하는 이유"

[CEO & STORY] 박명성 신시컴퍼니 대표

박명성 신시컴퍼니 대표가 최근 양재동에 위치한 신시컴퍼니 사옥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박명성 신시컴퍼니 대표가 최근 양재동에 위치한 신시컴퍼니 사옥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기자



박명성(사진) 신시컴퍼니 대표가 제작하는 작품은 모두 기본기에 충실하다. 연극과 뮤지컬이라는 장르의 특성을 확실하게 재현한다. 언어와 몸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줄 아는 배우들만이 그의 작품에 출연하기 때문이다. 안무가 거의 없는 뮤지컬, 몸을 잘 쓰지 못하는 배우가 나오는 연극이란 박 대표의 사전에 없다. 이는 박 대표가 무용과 연극을 정통으로 배웠다는 게 한몫했다. 그가 각 장르에 딱 맞는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은 우연이기도 하고 필연이기도 하다. 연극과 입시에서 실패하고 재수해 서울예대 한국무용과에 들어간 것이 그 시작이다.

“원래는 연극을 하고 싶었어요. 재수를 하고 나니 연극과에 넣으면 또 떨어질 것 같아 한국무용과에 지원했어요. 남자니까 들어가기 수월하지 않을까 해서요.”(웃음)


박 대표답게 솔직한 자기 고백이다. 그는 “당시에는 연극을 하든 무엇을 하든 무용은 필수였다”며 “지난 1980년대 초 극단에서는 펜싱까지 가르쳤다”고 설명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등 고전을 주로 공연했기 때문에 멋진 배우가 되려면 무용은 물론 펜싱 등 몸을 쓰는 법을 배워야 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박 대표는 한국무용의 대가 고(故) 최현의 제자이다. 그는 “당시 계속 무용을 할까도 고민했었다”며 “남자 무용수는 밥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었다. 지방자치단체에 한국무용단이 거의 다 있던 시절이었다”고 회상했다.

관련기사



무용·연극 등을 두루 거친 그의 경력은 신시만의 작품 색깔을 만들어낸다. 요즘에는 캐스팅에 치중해 안무가 거의 없는 뮤지컬이나 발성·호흡이 제대로 되지 않은 배우가 무대에 서는 경우도 왕왕 있지만 신시 작품에서 이는 허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신시 뮤지컬은 섬세하고 역동적인 안무가 돋보이며 연극에서도 배우들이 나무토막처럼 서 있지 않는다. “우리나라 창작극을 보면 춤 따로, 안무 따로인 경우가 있다. 작품에 녹아 행간의 여백을 리드하는 게 안무의 역할이다. 세련된 안무는 뮤지컬에서 필수다. 지금 세계 무대에서는 이처럼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섬세하고 세련된 안무와 움직임이 살아 있는 작품이 트렌드다.”

과거 연극은 우리 시대를 직시하는 중요한 장르였다. 연극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하는 게 연극인들의 사명감이자 책무였던 시절도 있었다. 그 시대부터 ‘연극쟁이’로 살아온 박 대표는 바로 이 같은 연극정신·예술정신을 잃지 않으려 노력한다. 그는 “저희 작품을 보고 난 후 관객들이 쾌감을 느끼고 뭔가 해답을 찾아가기 바란다”며 “이게 이 일을 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극 ‘레드’를 보고 연극배우 박정자 선생님께서 ‘예술이란 무엇인가, 예술을 하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그중에서도 연극을 하는 사람은 왜 연극을 하는가’라는 세 문장의 문자를 보내셨다”며 “제게는 숙제와도 같은 말인데 관객들도 한두 가지 이상의 숙제를 안고 객석을 떠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진정한 예술가에 이르는 길은 늘 숙제와도 같다는 것이다.
성형주기자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