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KDI 혼자하던 '민자사업 검토' 15곳으로 확대

공공기관·지방연구원도 허용

"민자사업 추진속도 빨라질 것"

앞으로 국토연구원·경기연구원 등 총 15개 공공기관과 지방연구원도 중소규모 민간투자사업 제안서 검토를 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모든 민자사업에 대한 제안서 검토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전담해왔다. 이번 조치로 민자사업 추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4일 기획재정부는 지난 5월 이후 민자사업 제안서 검토 전문기관 지정을 신청한 기관들의 자격 요건을 검토한 결과 총 15개 기관을 전문기관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 시행령을 바꿔 제안서 검토 수행기관을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선정된 기관은 국토연구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등 공공기관 9곳과 경기연구원(공공투자관리센터), 경남발전연구원(공공투자개발관리센터), 부산연구원(부산공공투자관리센터), 서울연구원(서울공공투자관리센터), 울산발전연구원(울산공공투자센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등 지방연구원 6곳이다.

이 기관들은 앞으로 △총사업비 2,000억원 미만이고 국가 재정지원 규모가 300억원 미만인 사업 △총사업비 500억원 미만인 사업에 한해 민간투자사업 적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은 규모의 사업은 자체적으로 재량을 주려는 것”이라며 “주무관청은 이전보다 더 빠르게 민간 제안사업의 추진 여부를 확정해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