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손정의-이재용 만찬회동




손정의(오른쪽 두번째)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이재용(왼쪽) 삼성전자 부회장이 4일 서울 성북구 한국가구박물관에 도착해 만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앞서 이날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손 회장은 “앞으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인공지능”이라며 “세계가 한국의 인공지능에 투자하도록 돕겠다. 한국도 세계 1등 기업에 투자하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4면/연합뉴스

“첫째도 둘째도 인공지능”…AI 전폭 육성 제안한 孫


[文대통령, 손정의 회장 접견]

孫 “유니콘 탄생엔 투자가 중요

AI 한번에 따라잡는 접근 필요”

文과 혁신벤처·신재생 등 논의

재계 회동선 미래 성장 조언

日 경제보복 문제도 다룬듯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에서 손정의(왼쪽)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4일 오후 청와대에서 손정의(왼쪽)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만나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만나 인공지능(AI) 분야의 인재 확보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 투자를 당부했다. 손 회장은 “앞으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인공지능, 둘째도 인공지능, 셋째도 인공지능”이라며 교육·정책·투자·예산 등 AI 분야의 전폭적 육성을 제안했다. 과거 김대중 전 대통령과 만나 “첫째도 브로드밴드, 둘째도 브로드밴드, 셋째도 브로드밴드”라며 초고속인터넷의 중요성을 역설했듯이 문 대통령에게는 AI 분야 육성을 강조한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은 손 회장의 조언에 따라 초고속인터넷의 전국 상용화에 주력해 우리나라가 ‘정보기술(IT)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문 대통령을 만난 손 회장은 이날 “AI는 인류 역사상 최대 수준의 혁명을 불러올 것”이라며 AI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아울러 “젊은 기업가들은 열정과 아이디어가 있지만 자금이 없다. 그러므로 유니콘이 탄생할 수 있도록 투자가 필요하다”며 “이렇게 투자된 기업은 매출이 늘고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고언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손 회장에게 AI 전문인력 양성 분야에 대한 관심과 지원, 젊은 창업자에 대한 투자, 소프트뱅크의 글로벌 네트워크 공유 등을 요청했고 이에 손 회장은 흔쾌히 “그러겠다(I will)”고 답했다. 손 회장은 이어 “한국이 인공지능 후발국이나 한발 한발 따라잡는 전략보다는 한번에 따라잡는 과감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세계가 한국의 인공지능에 투자하도록 돕겠다. 한국도 세계 1등 기업에 투자하라. 이것이 한국이 인공지능 1등 국가가 되기 위한 가장 빠른 길”이라고 조언했다.

문 대통령의 손 회장 접견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12년 대선후보 시절 일본 소프트뱅크 본사를 방문해 손 회장과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 등 에너지 협력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날 접견에는 사고 가쓰노리 소프트뱅크 부사장과 문규학 고문도 참석했다. 우리 정부 측에서는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노영민 비서실장, 김상조 정책실장, 이호승 경제수석,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이 함께했다.

손 회장은 청와대 방문을 마친 후 재계 총수들과 만나 AI·자율주행·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과 최근 극단으로 치닫는 한일관계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날 모임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등이 참석했다. 재계 총수 가운데 이 부회장은 손 회장과 각별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둘의 공식 만남은 2016년 9월 이후 3년 만이지만 이 부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후 지난해와 올해 일본 출장을 다녀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본 현지에서도 비공식 만남을 가졌을 가능성이 있다. 정 수석부회장과 구 회장은 이번에 처음으로 손 회장을 만났다.

우선 손 회장과 재계 총수들은 미래 혁신성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손 회장은 2017년 애플·폭스콘·퀄컴·샤프 등과 ‘비전펀드’를 조성해 혁신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비전펀드가 투자한 회사 중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유명한 반도체설계회사 ‘엔비디아’, 영국의 반도체설계회사 ‘ARM’, 로봇개발회사 ‘브레인코프’,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나우토’ 등이 있다. 시스템반도체·로봇·자율주행 등은 삼성·현대차·LG 등이 미래 먹거리로 집중 육성하는 분야다. 특히 손 회장은 현재 제2의 비전펀드 조성도 준비하고 있다. 이날 만남에서 재계 총수들과 향후 공동투자 계획을 논의했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손 회장은 앞으로 조성되는 제2 비전펀드는 AI 분야에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최근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에 대한 얘기도 오갔을 가능성이 높다. 손 회장이 양국 재계는 물론 정계에도 영향력이 큰 인물인 만큼 총수들이 최근 벌어지고 있는 사태에 대해 조언을 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양지윤·고병기기자 yang@sedaily.com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