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중공업 '힘센엔진' 인도 원전 돌린다

570억 규모 비상발전기 공급

현대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힘센엔진 모습./사진제공=현대중공업현대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힘센엔진 모습./사진제공=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의 ‘힘센엔진’이 인도 원자력발전소 시장에 진출했다. 힘센엔진은 주로 선박의 추진이나 발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현대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중형엔진이다.

현대중공업은 9일 현대종합상사와 함께 인도 민영발전회사인 파워리카와 4,900만달러(약 570억원) 규모의 ‘비상발전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수주한 비상발전기는 6.3㎿급 중형엔진인 힘센엔진 10기 등으로 구성된다. 오는 2022년까지 인도 남부의 타밀나두주 쿠단쿨람 원자력발전소 3·4호기에 공급될 예정이다.


원전 비상발전기는 원자력발전소가 긴급한 상황으로 운전을 멈췄을 때 순환수펌프 등에 전력을 공급해 원자로의 안정적 유지를 돕는 설비다. 멜트다운(Meltdown·노심용해) 등의 중대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15초 내에 비상 전력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과 품질이 요구된다.

관련기사



현대중공업 비상발전기는 진도8 이상의 강진에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국내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에 맞춰 노화·방사능·전자기파 공인시험을 모두 통과하는 등 높은 수준의 안정성과 품질을 갖췄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현대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2031년까지 인도에서만 21개의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이 예상된다”며 “이번 수주를 발판으로 중국·러시아와 함께 세계 3대 원전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 시장을 본격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0년 고리 원전 1호기 교체공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아랍에미리트(UAE)·영국·파키스탄 등 국내외 원전에 총 39기의 비상발전기를 수주, 이 중 11기를 공급했다.

한편 엔진 분야에서 후발주자인 현대중공업은 1990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해 2000년 8월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체 기술로 중형엔진인 힘센엔진(HiMSEN)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힘센엔진은 개발 당시부터 뛰어난 품질과 디자인으로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대한민국 10대 신기술(2002년), 세계일류상품(2004년), 독일 iF 디자인어워드와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2010년)에 잇달아 선정되는 등 이미 전 세계로부터 우수성을 공인받은 제품이다.

힘센엔진은 연간 생산량이 2001년 4대를 시작으로 2004년 123대, 2007년 이후 연간 800대 이상으로 급격하게 늘어나 2011년 2월 생산누계 5,000대, 2016년 3월 1만대 기록을 달성했다. 또한 현대중공업은 2001년 힘센엔진을 탑재한 이동식발전설비(PPS)를 상품화하고 선박 엔진에 대한 판매실적을 꾸준히 쌓은 결과 2011년 해양설비 시장에도 진출했다.

박한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