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총리 “김상조, 정책실장으로서 너무 많은 말 하고 있다”

野에 빌미 준 '롱 리스트' 발언

이례적으로 공개석상서 지적

"무역보복 상처 오래갈 수 있어"

이낙연(왼쪽) 국무총리와 김상조 정책실장이 지난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전 차담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낙연(왼쪽) 국무총리와 김상조 정책실장이 지난 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전 차담회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최근 발언에 대해 “정책실장으로서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10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김 실장이 일본의 경제보복 관련 100개의 롱 리스트가 있다고 했는데 롱 리스트를 알고 있느냐’는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김 실장은 지난 3일 언론인들과 만나 “일본에서만 수입할 수 있는 소재나 부품을 골라내니 롱 리스트가 나오더라. 그중 1·2·3번째에 해당하는 품목이 일본이 규제한 품목들”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총리가 청와대 정책실장을 공개적으로 지적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야당에서는 김 실장의 발언 후 “정부가 롱 리스트를 미리 알았다면서 아무 준비를 안 했고 일이 터지고 나서도 대응을 못 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이 총리의 발언은 대통령의 참모로서 외부 발언을 자제해야 하는 정책실장이 불필요한 말을 해 논란을 키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곽 의원은 “(김 실장의 말대로) ‘롱 리스트’가 있었다면 하나하나에 대한 대비책이 있었어야 한다”고 지적하자 이 총리는 “지난해 10월 말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이후 업계와 함께 일본 측 동향에 대한 판단과 징후를 공유해왔다”고 답했다. 이 총리는 정부의 대비책이 미흡했다는 비판과 관련해 “충분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기업에 따라 준비 정도에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일본 무역보복의) 상처는 꽤 오래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